심리학이 돈을 말하다 - 당신의 부에 영향을 미치는 돈의 심리학
저우신위에 지음, 박진희 옮김 / 미디어숲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 때문에 어지러운 세상, 어떻게 살아갈까?

그 때 언제든지 찾아 볼 수 있는 돈에 대한 매뉴얼

 

2020년 코로나 팬더믹 이후 우리는 더욱 더 돈에 대학 애착이 강해졌다.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 안정적인 수입이 보장되 않은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더욱이 돈 때문에 많은 고통을 받았다. 현재 우리는 직간접으로 이전보다 더 많이 돈에 해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이전에도 부동산이나 주식 관련 재테크는 항상 우리의 관심사였다. 그런데 요즘처럼 주식과 부동산 그리고 요즘에는 비트코인까지 돈에 대한 관심을 광풍에 휩쓸리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분위에 편승하여 우리 쉽게 접할 수 있는 유튜브에서는 오로지 돈을 벌 수 있는 주식, 부동산 등 각종 정보가 난무하고 있다.

 

이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중심을 잡고 해쳐 나갈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제대로 돈을 아는 것이다. 2020년 출간된 돈의 속성(김승호 저)’이후 돈과 관련된 제목의 서적들이 눈에 많이 띈다. 흔히 말해서 아류작 같은 느낌이 든다. 사실 책 제목에 이란 단어가 들면 내용에 상관없이 이전에 나왔던 책들과 대동소이한 내용으로 생각해서 내 자신의 독서목록에서는 제외 시켰다.

 

그런데 이번에 서평도서로 읽게 된 심리학이 돈을 말하다는 중국원서를 번역한 서적이지만 내용면에서 이전에 국내에서 번역 또는 출간된 책보다 돈에 대해서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을 객관적인 연구결과 근거로 쉽게 잘 정리했다. 그 덕분에 가독성이 높다.

 

책 내용은 돈에 대한 개인에서 가정, 사회, 소비까지 총 63가지의 관련 내용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이러한 본문 내용 때문에 한 번에 읽고 기억하기 보다는 수시로 읽어본다면 언제든지 돈에 대한 유용한 지식을 쌓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좀 아쉬운 점은 중국에 대한 통계자료는 별로 찾아볼 수 없다. 당연히 미국이나 유럽의 행동 경제학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그런 자료가 많아 이 책에 수록했겠지만 그렇다고 해도 최근 중국 산업의 팽창에 따라 돈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더욱 좋을 뻔 했다.

 

본문 중에서 인상 남는 것은 아무래도 돈과 가족, 특히 부부간에 관련된 내용이다. 상대방 특히 부부사이에 있어 돈을 이야기하면서 서로 상처를 받지 않는 방법이다. 첫 번째는 돈을 돈으로 생각하지 않고 신호로써 에를 들면 봉투를 사용하라는 것이다. 또 다른 한 가지는 자동으로 돈을 관리하는 메커니즘을 만들라는 것이다(사실 이 부분은 자세한 설명이 없음).

 

그리고 개인 입장에서 감정적 관계와 경제적 관계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여기서 일방통행이론이 적용된다. , 감정적인 관계가 경제적인 관계로 바뀔 수 있지만 그 반대는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큰 돈을 벌면 소소한 만족감으로는 행복하지 않기 때문에 점점 더 강한 자극을 원한다고 한다. 그래서 돈 많은 그들은 쾌락에 쉽게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부부가 공동 계좌를 사용하는데 있어 재밌는 사실은 공동 계좌는 실용적 물건을 구입할 때 주로 사용되고 개인 계좌는 자신의 쾌락성 소비에 많이 사용되는 연구결과도 있다.

 

한편, ‘돈은 우리의 상상력 뿐 만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를 좁힌다고 한다.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가난할수록 타인에게 시선이 오래 머문다는 것인데, 2016년 뉴욕대 심리학과의 연구 결과 돈 많은 참가자는 지나가는 다른 행인에 아무런 관심이 없지만 가난한 사람일수록 타인에게 오랫동안 그들의 시선이 머문다는 것이 밝혀졌다. 결국 부자와 빈자는 그들이 심리적인 상태가 다르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비롯한 미국 등 선진국이 앞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부의 양극화다. 점점 심각해지는 부의 양극화 문제는 앞으로 우리가 해결해야 할 우선과제가 아닐까! 이 책에서 저자는 이런 거시적인 문제까지 다루지 않았다.

 

돈에 대한 미시적인 관점에서 우리의 심리학적인 접근으로 지극히 개인적인 감정이나 해결 수준이지만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앞서 언급한 상대적 발탁감이나 빈곤뿐 만 아니라 우리 전체에 대한 부의 양극화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게 만든다. 끝으로 이 책을 한 마디로 정의한다면 돈을 보는 관점을 개인 뿐 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로 확대시켜준 책이다.

 

***이 서평은 크래플 서평단의 협찬으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