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을 위한 박물관 에세이 - 문화·예술·역사가 궁금한 십 대에게 들려주는 살아 있는 박물관 이야기
강선주 외 지음 / 해냄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때 생각했던 '박물관'은,

학교에서 단체로 견학가서 수첩에 메모하고

낮엔 잔디밭에서 친구들과 도시락을 먹거나,

시나 도에서 주최하는 백일장이 열리는 곳이었어요.


당연히 뛰면 안되지만,

왠지 숨죽여 봐야하는 어려운 곳이었는데,

육아를 하면서 느끼는 '박물관'은 친근한 곳이 되었어요.


한글, 전쟁, 역사, 도자기, 생물, 공룡 등 주제도 다양하고

집에서는 접할 수 없는 체험과 배움이 있는

살아있는 곳으로 느껴집니다.





책에서도 얘기했듯이

박물관은 전시 뿐 아니라 교육의 기능도 있고

시대에 따라 박물관의 개념이 변하기 때문이에요.


넓은 개념으로 보면

창경궁, 고인돌 유적, 미술관도 박물관이고

과거에는 없던 메타버스 속에도 생길 수 있어요.

정적이고 과거의 것만 있다고 여겼던 박물관에서

현재와 미래도 볼 수 있으니 더 기대가 됩니다.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전시들을 보기만 했지

그 전시를 누가 어떻게 기획했는지 생각못했어요.

작품과 자료를 모으고 주제와 맥락에 맞게

끊임없이 판단하는 기획자가 있습니다.





'박물관'에는 큐레이터만 있지 않아요.

고요한 전시장 뒤편에는 보존 과학자들도 있고,

에듀케이터와 도슨트, 행정실 근무자도 있어요.

고고학, 미술학 전공자만 근무하는 게 아니라니

청소년들이 진로를 생각할 때 시야를 더 넓혀도 좋겠습니다.





챕터가 끝날 때마다 <토론해 봅시다> 코너에서

던져주는 주제들은 부담이 없어서 토론하기 좋습니다.


사회교육과 교수, 학예연구관, 학예연구사,

미술교육과 교수 등 7명의 전문가가

들려주는 진짜 박물관 이야기.


문화, 예술, 역사가 궁금한 십 대들에게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