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석학이 알려주는 자녀교육법 : 영어 - 우리 아이를 위한 성공하는 영어학습법 서울대 석학이 알려주는 자녀교육법
이병민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울대 '석학'이란 말에 왠지 라떼 얘기하실 것 같았지만,

'서울대', '영어' 라는 두 키워드에 이길 재간이 없어 신청했는데,

읽어보길 정말 잘했다.




30여 년 동안 영어교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많은 시도를 하셨고,

본인의 경험과 제자들을 길러내며 겪은 일들,

초중고 대한민국 영어교육과 수능 영어 등

다양한 분야의 영어에 대한 저자의 생각을 담아주셨다.




1만 시간의 법칙은 많이들 들어봤을 것이다.

그 저자가 책을 내기 전에 작가님도 가설을

세웠던 것이 1만 1,680시간이었다.


아이가 태어나서 48개월 정도 되면

말하기를 (쓰기, 읽기가 아니다) 능숙하게 하니

하루 8시간 언어환경에 노출됐다고 가정하여 계산한 시간이다.


스포츠, 예술 등의 분야에서도 전문가가 되려면

1만 시간 이상이 필요한데,

이건 그냥 취미 삼아 하는 걸 말하는게 아니다.

의식을 가지고 훈련을 하는 것이다, 영어도 마찬가지.







교육과정을 보면 초등 3학년부터 고등학교까지

약 3,500개의 단어를 배우는데,

7,000~8,000개의 단어를 알아야

수능 영어의 나오는 어휘를 파악할 수 있다.

4,000 여개의 간극은 개인의 소관이니

학원, 과외 같은 사교육, 어학연수에 매달릴 수 밖에.



영어는 다른 과목과 달리 언어이다.

선언적 지식이 아닌 절차적 지식으로 쌓아야한다.


그나마 초등학교에서는 말하기, 듣기 위주로 하다가

중고등학교에서는 갑자기 문법을 하고 독해, 빈칸 채우기를 한다.

학생들을 변별하기 위해 일부러 어렵게 문제를 낸다.


언어라는 것이 같은 문장도 맥락에 따라

화자의 의도대로 상대가 이해하지 못할 때가 있다.

한번 가르쳐준다고 해서 다 아는 것도 아니다.


그런데도 현재의 영어 교육은 한 번 배웠으니

그것을 당연히 알고 있으리라는 전제로 테스트한다.

작문도 틀에 맞춰야 정답이고 약간의 오류도 용납 못한다.






이렇게 정리하고 보니 참으로 막막하다.

과연 영어를 지식과 평가 대상으로 대하는 것이 맞나?

우리나라 영어교육 환경에서는 언어로써의 영어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


그래도 작가님의 말씀에서 희망을 찾았다.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생도 초중고를 나왔다고 해서

그냥 글을 잘 쓰지지는 않으므로 따로 글쓰기 교육을 한단다.


우리 교육 환경에서 말하기/듣기 보다 읽기/쓰기를 더 많이 하니까

쉽고 흥미가 있는 주제부터 시작해서

다양하고 많은 영어 읽기로 쌓아야겠다.

집에서 자고 영어책들 찾아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