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일 밤의 우주 - 잠들기 전 짤막하게 읽어보는 천문우주 이야기 Collect 22
김명진 외 지음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학교 시절 사촌 동생의 망원경으로

추석의 보름달을 본 적이 있어요.


동그란 달 모양에 얼룩 무늬가 아니라

크고 작은 분화구가 실제로 있었구나!!

동생까지 세 명이 순서대로 보고 나면

달이 저만큼 올라간 걸 보고

진짜로 움직이는구나!!

감탄하고 또 감탄하면서 보았지요.

벌써 34년 쯤 전의 이야기입니다.

그 뒤로 밤하늘, 달, 별에 관심을 많이 갖게 되었고요.



'하루에 하나씩 읽는 짤막한 천문우주 이야기'라는 타이틀의 이 책은

한국천문연구원의 각 분야의 연구원분들이 일반인들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흥미로운 주제와 사진들을 담아주셨어요.






밤하늘에 빛나는 거라면 그냥 '별'이라고 하기 쉽지만,

별의 정의에 따르면 스스로 빛을 내야하고

스스로 탈 때 수소를 이용해야한답니다.

태양계에서의 유일한 별은 태양이에요.

우리가 말하는 '별똥별'은 별이 아니지요.


그리고 다 타지 못하고 지구에 떨어진 운석도

모든 것이 다 돈(?)이 되는 것이 아니래요.

진주에서 발견된 운석은 '오디너리 콘드라이트'로

지구에 떨어진 운석 중 80~90퍼센트가 여기에 해당해요.


돌과 철이 적절하게 섞인 석철질운석은 발견 비율이 1퍼센트도 안되고요

철과 니켈 같은 금속 사이에 감람석 등의 광물이 섞여서 보석 원석으로도 쓰이고

달이나 화성에서 온 운석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로 귀한 것이라고 합니다.







인터넷이나 책에서 보았던 그 아름다운 우주 사진들은

모두 허블 우주 망원경이나 제임스웹우주 망원경만 찍는게 아니었어요.

'천체사진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작품은

서울 도심에서 촬영한 하트 성운이었어요.

필터 3개를 쓰고 14시간 이상 노출해서 촬영한 702의 사진을 합성한거랍니다.

노력도 대단하고, 도시에서 우주의 성운을 찍을 수 있다는 사실이 더 놀랍습니다.



학창시절 시험 문제에 나온다고 외웠던

'천상열차분야지도'는 별의 밝기까지 표시된

엄청 정밀하고 자세한 천문도였어요.



지금은 200억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곳으로 간 보이저호.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신호의 세기는 약22와트 라고 해요.

우리집 욕실 전구보다도 더 약한 세기로

그 멀고 먼 우주에서 신호를 주고 받다니,

우주에 대한 이야기는 감탄할 일이 너무나 많아요.








허블 우주 망원경을 처음 올렸을 땐

거울 표면이 거칠어서 사진이 선명하지 않았대요.

겨우 머리카락 두께의 50분의 1 크기의 요철이었는데도 말이죠.


며칠 동안 우주 비행사들이 수리를 해서

은하를 선명하게 찍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책 본문에도 컬러 사진이 많지만,

참고자료도 유익하고, 나와 있는 큐알코드로

NASA나 한국항우연, 스페이스X 같은 곳과 연결하면

바로 고퀄의 사진과 영상 정보를 볼 수 있어서 넘 좋아요.




아무리 원하는 정보를 찾기 쉬운 시대라해도

체계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얻긴 어렵잖아요.

생생하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