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산 만들기
에이미 헌팅턴 지음, 낸시 레몬 그림, 이한음 옮김 / JEI재능교육(재능출판)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을 만든다고요?


겨우 아홉 단계에 1억 년만 있으면 된대요.


시간의 아버지도 아니고 작은 소녀가


산 만들기에 도전합니다.





저도 잘 모르는 안부, 너덜겅, 찰흔... 이런 말들이 있거든요.


책을 다 읽고나면 이런 지구과학 용어들을


알게 되면서 똑똑해진답니다.









1단계, 맨 처음엔 암석을 찾아야 돼요.


큰 게 필요한데, 보통 큰 거 말고요,


어마어마한 대륙의 해안선만큼 길고


높이도 30킬로미터쯤 되는 걸로요.






2단계, 부딪치고 구부려서 산 모양을 만들고


3단계는 밋밋한 산에 강도 만들고 산사태를 일으켜 꾸며줍니다.


4, 5단계에는 기후가 변해서 얼었다가 녹습니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두꺼운 눈 아래에서는 암석이 깎여서


점점 멋진 모습이 되어가고 있어요.







6단계에서는 흙을 덮어줍니다.


산이 멋있어졌지만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흙이 필요해요.


다행히 빙하가 실어다 준 모래, 진흙, 점토


부스러기들은 흙의 좋은 재료가 돼요.


그리고 지의류를 바위에 붙이면 암석이 녹고


식물이 양분으로 삼을 수 있는 물질들이 나와요.



지난달 수목원 특별 전시장에서


지의류를 보고 왔었는데,


이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네요!!!






7, 8, 9단계에서는


식물을 심고 동물을 키우고 잘 돌보기예요.



동물들이 열매를 먹고 돌아다니다가


똥을 눌 때 씨가 섞여 나와서 싹이 틀 수 있고,


지의류는 자기 일을 계속하고


바람, 얼음, 물도 천천히 암석을 부수며


계속 양분을 만들고 있어요.


이렇게 1천 년 쯤 놔두면 풍성한 산이 된답니다.




이런 내용을 교과서로 만난다거나


다큐멘터리로 만들어서 본다면 지루할 텐데


꼬마 여자아이가 (놀랍게도 1억년 동안 나이를 먹지 않고 그대로예요.ㅋ)


유머를 섞어가며 차근히 설명하고 만드는 걸 보여주니까 쉽게 이해가 돼요.



지구과학이라는 과목이 흥미롭지만


막상 외워야하는 내용이 많아서 어렵잖아요.


꼬마 박사님 덕분에 재밌게 잘 배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