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 없는 나라 - 서열화된 대학, 경쟁력 없는 교육, 불행한 사회
이승섭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KAIST 기계공학과 교수이며


학생처장, 입학처장, 글로벌리더십센터장을 역임하면서


교육과 입시에 대한 관심과 문제의식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냥 '용을 잡는 법을 가르치는 스승'이 될 수도 있었지만,


저자는 용기있게 입시와 교육 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생각을 바꾸고 개혁하자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대학은 앞으로 '잘할' 학생을 뽑습니다.


지금까지 잘해왔지만 앞으로 잘할 사람을 가리는 것은 정말 어렵지요.


다행히도 기존의 입시 제도로는 선발하지 못할 뻔 한 인재를


특기자 전형으로 입학해서 어엿한 CEO가 된 로켓천재 이야기는 제가 들어도 뿌듯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은 무엇을 목표로 가고 있을까요?



일제 강점기 시대의 교육이 점령국과는 완전


다른 목적이었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그것도 모르고 그냥 배워왔고,


해방과 휴전 이후에도 큰 맥락의 변화없이


그대로 이어졌다는 것은 더 큰 문제입니다.



교육을 비롯해 모든 것이 부족했던 시절엔


대학 간판이 큰 역할을 했고 좋은 대학이 좋은 직장, 성공을 보장해주었지만,


지금은 대학 간판의 보증 기간은 짧으며 그 이후에는 나의 실력이 받쳐줘야합니다.


시대가 바뀌고 있는데도 여전히 '대학 입시'라는 목표 아래 12년을 달려가고 있으니


대학 입학한 후에는 목표가 사라지고 이제부터 진짜 공부할 시기에 흥미를 잃습니다.



점수에 맞춰 대학과 학과를 정하지 말고


전공 적합성을 찾아 가야하는 이유입니다.








'연구는 공부의 끝이 아니라 사업의 시작이다'


'첨단을 하지 말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첨단으로 만들어라'



연구는 공부의 끝이 아니라 사업의 시작이랍니다.


대학이란 곳은, 해당 학과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계속해서 연구하려는 사람들이 가야겠어요.







저자는 대학 입시 제도를 정상화하자고 말하고 있어요.


교육과 입시를 정상화 한 뒤,


'연구 중심 대학' '교육 중심 대학' '혼합형 대학'


등으로 차별화하여 강화하자는 것입니다.



초원의 생태계에서 빠르기로는 치타가 1등이 될 것이고,


기린과 하마가 뭍에서 싸우느냐 물에서 싸우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리는 것처럼


무조건 사자가 1등이 아니라는 거죠.



이렇게 대학 입시를 내려 놓으면


중고등학교에서는 배움의 즐거움과 가르침의 보람을 되찾고


소중한 시간을 가족과 함께 보내며 행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요즘 거꾸로 교실이나 하브루타 수업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토론과 적극적인 수업이 좋다는 것은 당연히 알고 있었어요.



그러나 기존의 교육와 입시 제도에서는


공식적으로 점수화 하지 못하는 것은 배제되어 왔지요.




대한민국의 교육을 걱정하며


깨여있는 교육자들이 그동안 많이 주장하여왔으나,


정책과 시류에 밀려 제대로 변화하지 못했습니다.



저자의 바람대로 이 책이 작은 불쏘시개가 되어


모든 변화와 개혁을 가져올 수 있기를 저 역시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