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웠던 이 땅의 강이 이제 기억의 대상이 되어가는 참이다.  
레비 스트로스의 <슬픈 열대>처럼, 그보다 더 노골적이고 천박한 여기 한 줌 문명과 야만에 의해. 
"세계는 인간 없이 시작되었고, 또 인간 없이 끝날 것이다. "라는 슬픈 전언을 이 땅에서 맞닥뜨리는 느낌.

'이미지프레시안'의 첫 프로젝트로 진행된 '4대강 사진 기획'에 사진가 강제욱, 김홍구, 노순택, 성남훈, 이갑철, 이상엽, 조우혜, 최항영, 최형락, 한금선이 참가하여 1년여에 걸쳐 "사라져가는 풍경과 훼손되어가는 강"을 담았다. 


"... 사진은 고발하고자 하는 현실에 대해 가장 마지막까지 따라붙는다. 끝까지 질문을 던진다. 과연 이것이 정의이며, 과연 이것이 인간의 삶이 맞느냐고, 우리의 내밀한 욕망을 밝히는 물음을 계속 던진다. 그리고 마지막에는어쩔 수 없이 패배를 기록한다. 아무것도 저지할 수 없었고 아무것도 되돌릴 수 없었기 때문에만 가능할 기록을 남기기 때문이다. 이 패배는 참혹한가. 그렇지 않다. 현실에 끝까지 따라붙는다는 점 때문에 사진은 가장 강력한 고발 매체이며, 마지막 패배를 기록한다는 점 때문에 사진은 폐부에 직접적인 찰과상을 내는 예술의 한 장르가 되는 셈이다. 우리의 영혼은 이토록 직접적인 찰과상을 경험하지 않는 순간부터 괴물의 영혼이 될지도 모른다. 자본과 권력의 욕망으로 얼룩진 현대사를 힘겹게 살아가는 나약한 개인이 괴물로 변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예술은 아마도 가녀린 숨을 쉬고 있으리라.

... 미셜 푸코는 "아우슈비츠를 망강하는 것도 학살의 일부다"라고 말했다. 이 학살의 현장을 우리는 망각하면 안 된다. 망각함으로써 학살의 일부를 행해서도 안된다. 비록 저지와 저항의 힘이 권력자의 오만을 꺽진 못하고 있지만, 우리는 학살의 일부에 가담하지 않기 위해서 이렇게 한 권의 사진집을 세상에 내놓으며, 여전히 잘못된 것은 잘못되었다고 이의 제기를 해야한다. 망각의 반대편에 서서, 기억의 모든 방식을 동원하는 일만이 학살의 역사를 거스를 수 있는 힘이다. 이것은 소극적인 저항이 아니다. 커다란 물증을 남겨 역사적으로 중요한 기록이 될 수 있또록, 많은 사람이 이 책을 간직할 수만 있다면 말이다. "

- 김소연 시인의 발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