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딩, 턴
서유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1월
평점 :
품절


홀딩턴을 한꺼번에 읽었다. 자세히 보니 홀딩(holding), 턴(turn)

여자들이 가득한 회사에서 남자를 만날 기회를 만들기 위해 동료와 스윙댄스 동아리를 가입한 지원. 그곳에서 동료는 남자가 아닌 춤에 꽂혔고, 지원은 친구의 손에 이끌려 온 영진과 만난다.
회사에 힘든 일이 계속되서인지 미지근한 연애의 온도를 유지하던 중 영진이 건낸 음악으로 위로를 받은 지원은 영진과 사랑하는 사이로 발전한다.
결혼으로 인해 둘 사이가 일상으로 바뀌고 사소한 문제들로 다툼이 잦아지고 냉전은 길어지는데…
외출 후 바로 발을 닦지 않는 것, 변기 뚜껑을 올리지 않고 사용하는 것 등 사소함이 쌓여 그 두께가 커져가는 이 부부.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까?

#제로책방 #책리뷰
#책기록 #책추천
#장편소설추천
#한국문학추천

- 지원은 영진의 알았어,가 지긋지긋했다. 그는 알았다는 말을 곧잘 했지만 행동으로 옮긴 적은 거의 없었다. 그 대답은 다음을 기약하지 않는 것, 지금을 지나가기 위한 수단에 가까웠다.

- 무엇이 저 사람을 저 사람으로 만드는가. 자신이 보는 것은 저 사람의 몇 퍼센트에 해당할까. 그들은 실체이면서 총제인 채로 춤을 추지만 지원에게는 아직 실루엣이나 평면, 어떤 이미지에 불과했다. 무엇이 사람을 사람으로 만드는지, 호감과 무감, 경계와 불호로 가르는지 알 것 같으면서도 어느 순간에는 모호했다. 누군가에게 호감이 생긴다 싶으면 그에 대해 얼마나 안다고 그러느냐는 자문이 생겼고 좀 더 알게 되면 그 앎이 초반에 생긴 호감을 지워나갔다. 어떤 앎은 무감을 호감으로 바꾸기도 하지만 애당초 무감한 사람을 알기 위해 시간을 투자하는 일은 없었다.

- 연애가 멋진 신발을 신은 사람과 같이 걷는 거라면 결혼생활은 양말도 벗은 맨발을 보여주는 것이다. 발톱은 어떤 모양으로 생겼으며 발뒤꿈치가 얼마나 갈라졌는지까지도 적나라하게 들켜버리는 것. 그것이 편안함과 친밀감을 가져올 수도 있고 서로를 불편하게 만들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