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터 허블청소년 1
이희영 지음 / 허블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SF 소설과 친하지 않은 사람인데 이희영 작가님은 현실 기반으로 한 책보다 SF 기반으로 쓴 소설이 훨씬 좋음. 작가님 장편(6권) 중 이 책이 1등!! 2022년까진 페인트가 1등

달은 식민지화했고, 화성도 곧 제2의 지구로 테라포밍할 직전의 시대. 마케팅의 일환으로 인간이 강제로 멸종시킨 ‘레인보우 버드’를 복원하기로 한다. 오방새라 불렸던 새는 찬란한 깃털을 갖고 있었다. 그 깃털을 갖기 위해 사람들은 새에게 접근했고, 접근했던 인간들은 알 수 없는 병으로 죽어간 설화를 갖은 레인보우 버드는 바이러스와 같이 복원이 됐다. 극비에 진행된 프로젝트라 최고 담당자인 COO와 본부장이 희생됐다. 다만 COO의 몸 속에 있던 생명은 태어나 생명을 유지했지만, 바이러스와 싸우는 삶을 살아야했다.
햇빛조차 제대로 볼 수 없는 알비노 소년 ‘마오’는 공기 좋은 외딴 곳에 최첨단 장비를 갖춘 집에서 메이드봇 ‘보보’와 지낸다. 외출도 누군가와 교류도 불가하다. 가상 공간에서 교육 받고, 아바타 친구들만 있을 뿐이다. 학교를 다니고, 물놀이를 하고, 태닝을 하는 것이 꿈인 아이. 그런데 같은 질병을 앓는 누군가가 더 있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만나게 된다. 친구란 존재가 마오에게도 생기는건가?
자신과는 달리 하얗지 않은 ‘하라’ 자신보다 2살쯤 많고 체격도 약간 크다. 하지만 그의 몸에 커다란 멍자국이 가득하다. 이제 막 치료제가 개발되었다고 했는데, 하라도 치료를 받고 있는게 아닌가? 바이러스가 사람마다 다 다른 형태로 변형되기에 하라는 치료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은건가? 마오의 복잡한 생각에 아랑곳하지 않은 하라는 레인보우 버드의 복원한 자들에 대한 원망과 할아버지에 대한 원망 등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꽤 불편한 얼굴을 한다. 이제와서 어쩔 수 없는 질문을 한다고 되돌릴 수 없는 것인데 왜 자꾸 과거의 잘못에 대한 질문으로 자신을 괴롭힐까?
하라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은 하나 자신을 치료하는 박사님을 만나는 것. 그녀는 마오에게 수수께끼처럼 답을 던진다. 화성 복권 당첨자들은 왜 모두 가난한 사람들일까? 라는 질문과 함께 테스터로 쓰인다는 음모론에 관한 이야기를 마오에게 던지는데….


- 생각해 보면 인간의 환희와 기쁨, 절망과 분노는 쌍둥이처럼 닮아 있다. 온몸의 피가 머리로 몰리고 심장이 빨리 뛰며 정확히 무어라 형용할 수 없는 어지러운 감정에 휘말리니까

- 하루 24시간 1년 365일 물리적 흐름은 공평해도, 그 시간의 빛깔은 모두 달랐다. 번데기가 되지 않는 한 날개를 가질 수 있는 애벌레는 세상에 없었다. 종의 차이만 있을 뿐 지구의 모든 생명은 성장을 위해 힘든 과정을 생략할 수도, 지루한 시간을 건너뛸 수도 없었다. 그런데 오직 인간만이 그 흐름을 벗어나려 했다.

- 누군가는 세균과 바이러스에 감염되듯 욕망과 탐욕에 지배당한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스스로를 벼랑 끝으로 내모는 것이다.

- 쓸모와 의미, 가치와 효용까지 모든 기준은 인간이었다 산에 핀 풀 한 포기에게마저 그 기준을 들이댔다. 인간에게 이로우면 약초가 되지만, 의미가 없으면 잡초 취급했다.

소오름!
장강명 작가님이 극찬한 이유를 알겠음. 2023년 첫 소설이 이리 멋지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