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시작부터 예사롭지 않았다. '뭐 이런 선생, 제자가 있을까 싶다. 학생 인권 이야기인가? 아니야 교권에 대한 이야기인가? 아니지 또래집단과의 마찰인가? 아 모르겠다. 일단 열심히 읽어 보자.'로 이 책과의 만남은 시작되었다. 시작과 동시에 어느덧 책의 절반에 훌쩍 다가선 읽기 속도에 나 스스로가 놀랄 정도였다. 그 만큼 속도감 있게 이야기가 진행되었고 혼자 만화책을 보면서  낄낄대듯 책에 푹 빠지고 말았다.

  제자들에게 막말과 폭언을 퍼붓는 똥주 선생, 그런 선생을 빨리 죽여달라고 교회에서 비는 완득이, 완득이의 말처럼 '돌아이 짓'을 하는 혁주, 전교 일등이면서 자신같은 존재를 찾는 정윤하, 난장이처럼 키가 작아 놀림을 받지만 끝까지 춤에 대한 미련을 못버리는 아버지, 아버지에 대한 의리와 믿음으로 옆자리를 지키는 말더듬이 삼촌 등 다양한 캐릭터들의 좌충우돌 생활담을 위주로 이야기는 진행되었다.

하지만 중반을 넘어서면서 서서히 소설은 소설근원의 인간생활사에 대한 물음과 완득이를 중심으로 한 성장기 청소년들의 심리에 귀를 기울인다. 특히 베트남 어머니의 등장과 이주노동자, 이주여성을 위해 봉사하는 담임 똥주 선생의 행동이 밝혀지면서 이야기는 대전환을 맞이한다.

  누군가 때문에 누군가 힘들다. 그래서 누군가를 죽일듯이 미워하면서 인간은 삶의 끈을 놓지 않는다. 담임 똥주 선생의 완득이에 대한 행동은 완득이로 하여금 삶의 끈을 붙잡아 주기위함인지도 모른다. 완득이는 똥주 선생으로 인해 어느덧 소외 계층에서 여러 사람의 삶의 끈을 잡아주는 주인공으로 급부상하게 된다. 아버지와 삼촌의 삶, 베트남 어머님의 삶, 친구 정윤하의 삶, 킥복싱 관장의 삶, 그리고 담임 똥주 선생의 삶까지도 깊이 관여하고 있으니 말이다.

 물론 이야기의 종반부가 너무 급히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가 우려가 되긴 했다. 세상은 너무도 냉혹한데 이들에게 닥친 문제들이 너무 쉽게 해결돼버린 측면이 없지는 않다. 하지만 완득이는 킥복싱에서 아직 이겨보지 못했다. 자꾸 맞고 또 맞는다. 청소년기에 삶의 시련도 이와 같다. 한 번 왔다 가는  홍역 같은 것이 아니라  하루에도 몇 번씩 천국과 지옥을 오가며 참고 견디고 이겨내야 하는 찐득이 같은 놈이다. 완득이는 성장하고 있다. 때로는 온몸과 마음이 피투성이가 될 정도로  다친다. 하지만 이전처럼 속으로 곪는 것을 참는 것이 아니라 겉으로 아프다고 소리친다. "나 많이 아파요." 물론 누군가 대신 아파줄 수 없지만 완득이는 외롭지 않다. 서럽지 않다. 왜냐구? 옆에는 늘 누군가가 있으니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똘이장군 2008-12-05 2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 선생님 께서 학교에서 읽어주셨었는데 '완득이'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다 또 보게 됬네요.. 역시 선생님 글이 빛나요~//은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