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교양 (반양장) - 지금, 여기, 보통 사람들을 위한 현실 인문학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금, 국가, 자유, 직업, 교육, 정의, 미래라는 큰 꼭지들을 중심으로 그와 얽혀있는 이해관계들을 소개하고 설명한다. 원론적으로 접근한다는 느낌이었지만 읽다보면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빈민을 양산하는 교육제도와 국가 그리고 정치적 무관심을 초래하는 저임금 등은 악순환하며 반복된다. 이러한 우리 사회의 현실은 작가가 인용한 ˝가난한 이들은 내일을 생각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변한다.˝는 지식인의 말을 뒷받침한다.

작가는 세상의 구조에 대해 이해하는 능력을 ˝교양˝이라고 말하면서 ˝시민의 합리적인 선택을 위한 세상의 구조화˝가 이 책의 목적이라고 소개한다. 그러면서 ˝나의 이익을 추구하는 동시에 계급의 이익을 대변하고 사회의 이익을 고려할 책임˝을 시민에게 요구한다. 자본가는 언제나 똘똘 뭉쳐 자신의 이익을 위한 정치/사회/경제 활동을 한다. 그러나 평생을 노동자로 살아가는 대부분은 자본가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당에 투표하고, 노동조합이나 시민사회단체의 정치활동을 비난한다. 자본가와 달리 노동자는 자신이 속한 계급을 모른다. 매 선거 때 투표 결과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모든 사회현상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그냥 생겨나는 것은 없다. 양비론적 시각과 이분법적 사고는 오랜 시간 주입된 한국 교육의 병폐일 뿐 세상을 보는 데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 이 책은 그야말로 ˝시민의 교양˝을 위한 책이다. 이를 통해 삶에 기본이 되는 인문학을 공부하고, 시민이 갖춰 할 최소한의 교양을 겸비하자. 시민이라면, 앞서 언급한 지식인의 말에 갸우뚱하며 ˝그럼 내일을 생각할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주면 되는 것 아닌가?˝하고 반문할 수 있어야 하지 않겠나. 우리 사회의 내일을 선택하는 것은 시민이니까. 시민이 주인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