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자본주의의 모순이 낳은 재난
마이크 데이비스 외 지음 / 책갈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 세계가 코로나 19로 신음하고 있다. 사상 초유의 감염병으로 수능과 개학이 연기되었고, 명절을 비롯한 각종 행사와 축제는 사라졌다. 코로나 19는 우리의 일상을 앗아갔다.

코로나 19는 박쥐로부터 전염되었다. 개발이란 미명하에 자연을 훼손하고 생태계를 파괴한 사람들로 인해 박쥐는 집을 잃었다. 야생 박쥐가 갖고 있던 온갖 바이러스는 다른 동물들에게 전염됐고 곧 사스, 메르스, 그리고 코로나 19로 변이되어 인간종의 생명까지 위협했다. 야생 박쥐가 감염병을 퍼트리도록 만든 것은 사람, 자본이었다. 박쥐는 죄가 없다.

박근혜가 메르스가 창궐했던 당시에 낙타를 때렸다면, 문재인은 코로나 19가 확산세를 보이자 신천지를 때렸다. 공공병원을 짓겠다던 문재인의 공약은 공염불이 됐다. 앞서 겪은 두 차례의 감염 재난으로도 반성이 없다.

방호복을 입고 있던 검사진 한 분이 시간을 물었다. ˝6시 10분이에요.˝ 그러자 검사진은 한숨을 쉬며 5시간 넘도록 화장실을 한 번도 못갔다고 답했다. 포항 시장은 전국 최초로 가구당 1명 코로나 19 검사를 받도록 행정명령을 내렸다. 충분한 인력 확보를 염두에 두고 진행한 행정인지 묻고싶다. 현재 재선 시장인 이강덕씨가 3선까지 가능한 시장을 또 하고싶거나 더 큰 정치적 야망을 꿈꾸며 강행한 것으로 보여질 뿐이다.

코로나 19가 끝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자꾸만 든다. 설사 끝나더라도 또 다른 감염병이 금세 발생할 것 같다. 분명한 건 자본주의가 계속 팽창하는 한 감염 재난은 언제든 반복된다. 재난 속 국민을 지키기 위해 정부는 마땅히 공공병원을 확충하고, 국민 1인당 재난기본소득 지급해야한다. 그리고 지금 우리는 코로나 19를 비롯해 세계적 감염병을 만든 자본주의의 모순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