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방울전 : 여성의 목소리를 내다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 14
서필원 지음, 황인원 정보글, 이은주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방울 전 

여성의 목소리를 내다 

 금방울전 여성의 목소리를 내다

서필원 글 이은주 그림

휴이넘

 

남성중심의 유교사회였던 조선 시대에 작품으로나마 여성의 목소리를 낼 수 있었던 금방울전은

여성 대통령이 사회를 이끌어 가고있는 현시대와 논저를 함께하는 것 같아 기뻤답니다.

딸만 4인 집의 맏이로써 여자도 못할 게 없다고 배웠으면서도 '여자라서 난 힘이 없으니까....'남편에게 미뤘던 제 자신이 부끄러워지며 이 책을 읽는 딸에게 조금은 부끄러워지는 시간이기도 했답니다.

여성의 지위가 낮았던 조선 시대는 시대적 억울한 눌림때문이였는지 그 어느 시대보다 여성 영웅의 출현을 간절히 바랐습니다. 고전이긴하나 사랑에 있어서나 삶을 개처해 나가는 데 있어 적극적인 여성상,

세상으로 나가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여성 영웅들은 억눌린 삶을 살아온 여성들의 지위를 높이는 데

<금방울전>이 한몫하였다하니 반갑기 그지 없지요.

남편보다 뛰어난 시상으로 글을 썼다하여 외롭게 짧은 생을 마감한 허난설헌의 서글픈 작품 몇 점에 비하면 고정 관념을 깨뜨린 작품으로 큰 가치를 찬사 받을 것입니다.

전생의 못다 한 인연을 다시 맺기 위해 애쓰기도하고 여서으로 남성에게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라는 기존 인식을 확 뒤집고 당시 여성들의 희망과 소망이 금방울의 모습에 거울처럼 투영되었다하니

오랜 세월에 걸쳐 쌓여온 관습과 인식을 거부하고 세상에 자신들이 품어 왔던 목소리를 조금씩 들려주기 위해 노력한 작품이지요.

어쩜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꿈을 여성 영웅의 욕망 실현을 통해 위로받으며 억눌러 왔던 욕구들을 드러내게 된 것으로 새 여성상을 인정하는 세상이 서서히 열리기 시작합니다.

이미 통일신라시대에 선덕여왕,진덕여왕,진성여왕이 있었거늘 왜 어찌하여 그 후대인 조선시대에 유독 여인의 권위를 보호하지않았는지 시대적 상황이 참 무심하기만 하였건만,

여성 독자뿐아니라 권력에서 소외된 피지배층의 행복 의식까지 반영하여 대리만족을 충분히 느끼게 해준 듯 합니다.

그러나 금령이 당시 가부장적 여성의 모습에 갇혀 더 높은 이상을 성취하지 못하고 '혼인'에 그치고 말았다는 점은 <금방울전>이 남성이 자회의 주도층이었던 조선 시대의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네요.

문학 작품을 통해 좋은 것은 받아들이고 나쁜 것은 개선점을 찾는 활동또한 중요한데

금방울전을 통해 우리가 개선해 나갈 점은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지금 펼쳐지고있는 박근혜 여성대통령의 사회적 횡보가 여러 방향에서 주목되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 두려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