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의 이야기꾼 전기수 징검다리 역사책 3
정창권 지음, 김도연 그림 / 사계절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리의 이야기꾼 전기수

 

글 정창권  그림 김도연

사계절

 

 

거리의 이야기꾼 전기수

 

징검다리 역사책 3

 

이 책을 쓰신 지은이 정창권님은 국문학을 전공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세밀히 복원하여 이야기로 들려주는 전문 역사 스토리텔러입니다.

자신이 스토리텔러이기때문에 이런 글을 쓰신 걸까요?

참 독특한 소재로 재미난 이야기를 엮어나가신 참신하다못해 전기수에대해 좀 더 알아보고싶다는 궁금증을 자아내게 한 책이랍니다.

 

전기수는 '기이한 이야기를 전해 주는 노인'이라는 뜻인데, 거리에서 사람들을 모아 소설 읽어 주는 일을 직업으로 삼은 사람을 일컬었어요.

요즘으로 치면 구연동화 선생님 좀 더 시대적 상황에 맞는 용어를 쓴다면 Story teller~

이런 독특한 직업이 생겨난 조선 후기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면 남녀노소,양반 상민 할 것 없이 소설을 읽고 싶어했기에 책을 빌려 주는 세책가가 성행했고, 싼값에 찍어 낸 방각 본 소설까지 나왔어요.

날마다 한양 거리를 뛰어다니며 책을 파는 조신선 같은 책장수도 많았고요.

 

우리 어른들도 입담 좋은 누군가가 재미있게 이야기해주면 재미있다고 느낄뿐더러 기억에 참 오래 남잖아요.

마치 그것처럼 문맹자와 책을 살 형편이 되지않는 사람들을 위해 전문 낭독인 '전기수'란 새 직업이 등장한 거예요.

 

 

 

서리라는 신분의 벽때문에 공부는 해봤자 높은 벼슬에 오르지못하지만 전기수는 남들 앞에 떳떳히 나와 이야기로 사름들을 즐겁고

행복하게 해 주니 대단한 일이며 가난하고 무지한 사람들에게 세상 사는 지혜도 가르쳐준다며 겸임(심부름꾼)라도 되라는 아버지 뜻을 거역하고 옷 보따리를 싸 들고 세상밖으로 나가 전기수가 되기까지의 어려운 과정이 그려져 있는 이자상의 모습에서 신분차별의 아픔보다는

전기수라는 직업에대한 매력이 더 눈에 띄였더랍니다.

 

솔직히 나 어릴적만해도 동화구연가가 없었는데 (그저 '옛날 옛날에~'하시며 잠자리에 얘기해주시던 할머니 존재정도...) 최근 동화구연 수업을 받고 대중 앞에 당당해지려는 아이와 어른들의 모습에서 이자상이 전기수가 되어야만했던 그의 뜻을 충분히 알 것 같았더랍니다.

 

중인 출신의 이자상은 조선 시대 유명한 전기수였는데 충명하고 기억력이 좋았고 낭독 솜씨가 뛰어났으나 늙어서는 아는 사람의 집에서 신세지며 힘든 세상을 살아갑니다.  그만의 낭독법을 살짝 살펴보면

낭독법 1 읊조리듯 노래하듯 낭독하라

낭독법 2 가슴으로 외우라

낭독법 3 눈길과 표정, 자세를 청중에게 맞춰라

낭독법 4 끊어 읽기와 요전법

이였으니 제가 배웠던 동화구연 방법과 큰 차이는 없네요^^

 

전기수들은 때론 사람들의 우상이 되지만 양반댁 아녀자들과 풍기물란을 일으킨다는 죄목으로 전부 잡혀가는 신세로 전락하기도합니다.

모든 세상만사가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는 것처럼 흥망성쇠가 그들의 직업에도 보여지네요.

 

아가씨적 아이들을 가르쳤던 저는 목이 쉬는 일이 전혀 없었습니다.

하지만 엄마가 된 뒤로 저는 늘 허스키한 목소리로 '에에~~'가다듬게 되네요.

이유인즉 아이들에게 10년도 넘게 계속해서 책을 읽어주고 있다는......

이자상처럼 저자거리에서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하는 전기수는 아니지만 우리집 두 녀석을 위한 전기수로 밤낮없이 투철한 직업정신(?)으로

책을 낭독하고 있기때문이죠. 저도 이자상같은 훌륭한 전기수가 있다면 집으로 초청해서 우리 아이들 선생님으로 받들어 뫼시고 싶은데 4학년된 딸조차 엄마표 전기수를 원하고 있어 낭독하고 독후활동하고, 또 낭독하고 독후활동하기를 되풀이 한답니다.

엄마가 읽어주는 책이 더 재미있다나요?

아이들의 꾐수가 약간은 보이지만 몇년 전 문화교실에서 만난 <씨앗을 지키는 사람들>의 저자 안미란 선생님의 말씀처럼

'고등학생이 되어도 아이가 원하면 설겆이를 차치하고라도 계속 읽어주어라'

 를 계속 실천해보려고요.

 

조선시대 유명한 이자상 전기수가 있었다면 대한민국 Tina와 Philip군의 전기수는 바로 저, 아이들의 '엄마'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