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사 박물관에서 살아남기 1 서바이벌 만화 과학상식 32
곰돌이 co. 글, 한현동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가 떠오르는 <자연사 박물관에서 살아남기>는 영화의 이미지가 머릿 속에 내재되어

영상이 눈에 선하더라구요.

책 속 그림또한 같은 맥락을 하는듯하여 아이들도 저와 같은 의견이였는데

최근 해남 자연사 박물관에 다녀온 아이들이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며 책 내용을 연계할 수 있었답니다.

자연사 박물관에서 살아남기 1

 

헬렌 켈러는 사흘만 눈을 떠서 볼 수 있다면, 미국 자연사 박물관을 꼭 보고 싶은 것 중 하나로 꼽았다네요.

짧은 시간에 세상의 과거와 현재를 모두 볼 수 있는 곳이 바로 자연사 박물관이기 때문이랍니다.

 

자연사 박물관은 현 인류가 살고 있는 이 지구의 오랜 역사를 담은 곳으로 아주 오래전 지구에 번성했다 사라진 생물의 화석,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진귀한 광물,우주에서 날아온 운석 등을 통해 한때 지구의 일부였지만 이제는 사라져 버린 세계를 보여 주는 곳으로

현재 살고 있는 생물들의 표본을 찾아내고 분류해서, 후손들에게 물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이런 진귀한 곳에 우리의 장난꾸러기 지오가 방문을 하였으니

더군다나 친구 명수,미키,금보 세명의 꾸러기들이 합류하였다니....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명약관화 아니겠어요?

인체와 심해에서 함께 모험을 했던 박사님들은 어쩌자고 지오에게 초대장을 보내신 걸까요?

모든 일에 임해서 거침없이 헤쳐나가는 지오의 능력을 믿으셨던걸까요?

 

 

박물관 창고 안에 있던 운석이 떨어지며 요란하게 벌어지는 소란부터하여

생명의 기록, 화석을 공부할 수 있답니다.

화석은 지질 시대에 살았던 고생물의 유해나 활동 흔적 따위가 퇴적물에 남아 잇는 것을 막하는데 생물이 번성해야하며 생물이 죽은 후 바로 퇴적물 속에 묻혀 분해되지 않아야 하는 조건을 만족해야하네요.

생물의 일부 또는 전체가 남는 것을 체화석

발자국이나 기어 다닌 자국 등의 생활 모습이 남아 있는 경우는 흔적 화석이라 합니다.

석탄과 석유 등의 화석 연료는 생물의 사체가 쌓여 오랜 시간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 진 것입니다.

공룡 화석의 복원 과정 소개까지 4컷의 간단한 만화로 설명이 잘 되어 있답니다..



 

또한 우주의 시작을 말해주는 '빅 뱅(big bang)이론'은 하나의 점에 불과했던 태초의 우주가 높은 온도와 밀도에서 대폭발을 일으켜 엄청나게 팽창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는 설인데

부끄럽지만 저는 이 이론을 대학시절 교양과목으로 처음 접한 기억이 나네요.

 

태양계의 탄생을 알려주는 성운설,소행성설,조석설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한층 더 up -grade된 지식을 쌓은 수 있어요.

 

크리스찬이 아닌 우리 집에서 딸이 제게 묻습니다.

"엄마 생명체는 어디서 왔나요?

그러면 저는 "바다에서부터 시작되었느니라~~"설명하곤 했는데

바다에서 시작된 최초의 생명체를 지구의 산소환경을 통해 이해시키고 시간의 흐름과 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진화가 시작되었다고

책을 통해 이해시킬 수 있어서 좋습니다.

 

초등2학년 여자아이에게 우주의 탄생과 화석등등을 설명하긴 참 난해한 부분이 많은데

직접 박물관을 방문하여 주마간산 격으로라도 관찰한다던지 이렇게 <자연사 박물관에서 살아남기>와 같은 학습만화 연계가 가능하기에

어렵지않게 과학분야에 접근할 수 있는 것같습니다.

 

46억 년 지구의 역사를 배경으로 전개되는 추격전을

지오와 그 친구들의 슬기로운 대처법을 통해 알 수 있는 재미난 내용이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