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 지도 따라 굽이굽이 역사 여행 500km 아이세움 지식그림책 30
김하늘 지음, 박지훈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삼국시대부터 한강을 점령하기위한 고구려,백제,신라간의 싸움이 대단하였습니다.

굽이굽이 흐르는 한강 주위로 기름진 옥토를 차지하기위한 그들간의 세력 다툼이였겠죠?

한국의 중부, 강원도·충청북도·경기도·서울특별시를 거쳐 황해로 유입하는 강으로

몇 안되는 우리나라 행정구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듯합니다.

그만큼 넓은 지역으로 흐르고 있는데

한강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우리말에서 '큰 물줄기'를 의미하는 '한가람'에서 비롯 되었다 하네요.

 

 



 

한강은 강원도 태백의 검룡서에서 퐁퐁 솟아올라 강화도를 거쳐

서해 바다까지 힘차게 흐르는 강으로, 그 길이가 무려 500km 가까이 됩니다.

요즘 그 유명한 4대강 사업을 위해 온 힘을 쏟고 있는데 드넓은 한강줄기를 따라

한강 물을 마시며 농사 짓고, 한강에 배를 띄워 물자와 사람들을 실어 나르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한강의 발원지뿐아니라 한강 주위에 흩어져있는 여러 유적지를 살펴 볼 수 있는데

한강이라는 하나의 간단한 이름으로 통일될지언정 

그 주위에 펼쳐진 광경이라던지 많은 역사적 기록들은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거란의 침입을 막기 위한 것이라던지 단종 임금의 귀양소로 사약을 받은 피비린 내를 풍기는 '관풍헌'

신라 영토를 나타내기 위한 '탑평리 칠층석탑'이 사진으로 나와 있습니다.


 




 

지리관련 책인줄 알고 펼쳤는데 의외로 풍경화가 아름답게 펼쳐있어

약간은 놀랐습니다.

실사로 보는 것보다 훨씬 따뜻하고 정이 느껴지던걸요.

 



하지만 접혀진 페에지를 펼치면

그에 관련된 전설이라던지 뛰어난 인물들이 재미있게 펼쳐있는

설명을 읽을 수 있는 또 다른 맛이 있네요.


 

 



솔직히 '한강'하면 서울을 바로 떠올리게 되는데

1970년대 유행했던 '제 3 한강교'라는 혜은이씨 노래때문에 더욱 뇌리에 박힌 듯합니다.

유행가이지만 어려서부터 익히 들어 온 노래이기에 '한강=서울'로 좁게 인지하고 있는데

이 책을 읽은 아이라면 한강이 비단 서울에만 걸쳐진 강이 아니라는 것을 정확히 알겠죠?

조선을 세운 태조가 서울을 한양이라 이름 짓고 도읍으로 삼았는데 그 뒤로 대한민국이 된 지금까지 서울은 우리나라 수도랍니다.

서울을 도읍으로 삼고 중요하게 생각했던 까닭은 바로 한강 때문인데

한강에서 배를 타면 바다든지 내륙이든지 쉽게 오고 갈 수 있었기 때문이죠.


 

한강 옆에는 방섬,횽창공원,전쟁기념관,원효대교,노들섬,석촌호수,서울올림픽공원등 유명한 장소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네요.

얼마전 어린 아들과 책을 읽다가 '배다리'라는 다리 형식을 보았는데 정조가 수원에 있는 사도세자 능을 찾을때

정약용이 배다리 건설을 맡아 진행했다합니다.

조서시대 배다리부터 현재 철교까지 간단히 다리 형태도 지켜볼 수 있는 책이네요.


 

 





하루 만에 한강을 돌아보기위해

단양충주권(온달 관광지-탄금대-탑평리 칠층석탑-중원 고구려비-목계 나루터)

여주 양평권(목아 박물관-신륵사-여주 도자기 체험장-영릉-황순원문학촌-두물머리)

춘천 가평권(소양강댐과 청평사-중도 선사유적지-김유정문학촌-강촌 구곡폭포-남이섬)

철원 연천권(고석정-안보 관광지-직탕폭포-승일교-전곡기 선사유적지)

가 소개되어 있는데 요즘처럼 하늘 푸른 10월에 주말을 이용해 한코스 골라서 체험학습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