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부전 : 부를 탐하다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 4
최문애.박선희 지음, 최지경 그림 / 휴이넘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초등학교 4학년때 스승의 날을 즈음하여 선생님께 보답하는 의미에서 연극을 하나 준비했습니다.

제목하여 '흥부전'

그때 제가 맡았던 역할은 '놀부아내'였는데 이유인 즉, 제 성씨가 '연'씨였기 때문이네요.

 

혹자는 '박'에서 보물을 쏟아 졌다하여 흥부의 성씨를 '박'씨로 표기하기도하고 또 다른 혹자는 제비 '연'때문에

흥부가 '연'씨 일 것이라 표기하였는데

성씨가 '박'씨인지 '연'씨인지 그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하여튼 흥부놀부하면 전혀 상관없는 성씨 본인데도 

눈길을 조금 받았었다는거~.

 

《흥부전》은 신재효의 [박타령]과 [박흥보가]를 기본 줄거리로 삼고,

글의 리듬감을 살리기 위해서 [흥보가]의 내용을 참고하고 있답니다.

휴이넘의 고전시리즈를 첫 권 <토끼전>부터 열심히,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이 책 역시 시리즈가 빨리 나오길 간절히 바라며

책을 펼쳐들게 되었는데 역시나 기대를 져버리지 않는 내용이였답니다.

 

흥부전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해석이 또 다르게 펼쳐지기도하고

고전문학을 통해 그 소설이 씌였던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역사공부를 함께 겸할 수 있는 장점이 너무 마음에 들어

이 책만 잘 정독하여도 역사논술 따로 시킬 필요가 없겠더라구요.

 

조선 후기 정치,경제가 어지러운 틈을 타서 이 소설또한 백성들의 바램을 글 속에 담아

내용을 풀어가고 있는데

표지의 그림이 말해주듯 놀부는 욕심으로 똘똘뭉친 인정머리 없는 형이랍니다.

하지만 요즘같이 물가가 비싸 아이를 낳지 않으려 발버둥치는 신혼부부들의 실저을 비춰본다면

'지 먹을 것은 다 타고 난다.'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아이를 줄줄이 낳아 

아이들은 그들대로 충족되지 않은 기본 의,식,주 때문에 아버지 흥부에게 눈물나는 돈을 쓰게끔 만들고

흥부의 아내는 아내대로 그 많은 자식을 1년에 한 명씩만 낳아도 최소 29년이라는 세월동안

 배불러 아이낳고 또 배불러 아이낳는 심신이 다 망가지는 세월을 보냈을 것같아 참 딱하더라구요.

'가난은 나랏님도 못 구한다'는 속담이 있는데

착한 마음씨덕에 나랏님대신 제비의 덕을 본 흥부를 본다면 이건 소설이기에 가능한 것이지

사리사욕에 눈 먼 조선시대 사람들에게 당치 않은 내용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하지만 소설이기에 가능한

힘없는 백성을 대신하는 흥부의 성공은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는 평민들에게

힘과 꿈을 가슴 속에 묻고 노력하게 만드는 허구의 힘이 아닌가 생각해 보았어요.

 

아직 아이가 어려 많은 것을 이야기해보지 못했다는 점이 아쉬웠지만

아이들 수업을 위해서 먼저 제가 읽을 수 있는 행운이 있었다는 점, 너무 행복하네요.

이 시리즈가 언제까지 계속 될지 은근 궁금해지면서

고전을 통해 시대를 비춰보는 힘을 기를 수 있었던 것같아

왜 고전을 배워야하는지 그 이유를 확실하게 알아가는 계기였답니다.

 

아이와 <흥부전> 뒷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놀이를 해보는 것도 이 책을 새롭게 해석하는 팁이 되지않을까

독후활동 해보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