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전 : 신분 사회를 비틀다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 3
김경란 지음, 김연정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휴이넘의 '역사로 통하는 고전문학'3번째 소설로 <춘향전>을 읽게 되었어요.

전편인<토끼전> <심청전>을 무척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3번째 <춘향전>또한 많은 관심이 가더라구요.

이 '역사로 통하는 고전 문학' 시리즈는 정통 제목외에 고전 문학의 전체적 맥락을 꿰 뚫어 볼 수 있는

부제가 붙어 책 내용을 미리 가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춘향전>은 '신분 사회를 비틀다'라고 하여 조선 후기 어지러운 신분 사회상을 은근 내비춘게 아닌가

짚어 볼 수 있더라구요.

 

지금껏 읽은 춘향전은

'어사 이몽룡의 출현으로 변사또에게 수청의 거부 뜻을 내비친 춘향이를 구한다.'

정도로밖에 묘사되지 않아

'유교적 사상이 뿌리내린 조선 사회에서 설마 춘향이가 정부인이 되겠어?'하는

의구심을 깨끗이 없애버리는 방향의 내용이 묘사되어 시원하더라구요.

 

16살! 

꽃다운 나이의 남,여가 만나 사랑을 불태우기 제격이 나이이긴하지만

아직은 미숙한 점이 많아 제대로된 판단을 할 수 있을까 염려가 되기도 하는 불안한 시기이네요.

하지만 이몽룡은 그 염려를 노파심으로 몰아내고 춘향이를 정렬부인으로 앉혀 아들,딸 잘 낳고

처음 맹세한 사랑의 서약을 끝까지 지킨 멋진 남자로 그려집니다.

다른 춘향전도 이런 식으로 그려지는지 궁금하지만 해피엔딩으로 그려지는 것이 복잡하지 않아 너무 좋더라구요.

 

 



제가 사는 곳에서 조금만 차를 달리면 춘향이 살던 남원으로 갈 수 있답니다.

책에 나와있는것보다 좀 더 현실적으로 접할 수 있어 좋은데

소설의 흥을 느끼기 딱~인 곳이죠.

제일 인상깊었다할까? 그 유명한 광한루 연못보다는 '월매네'였는데

아무래도 이곳이 이몽룡의 처갓댁이다보니 좀 더 푸근한 느낌이라할까요?^^

 



춘향이 어머니의 신분을 따랐다면 귀생이 되었을 것이나

월매가 귀생을 그만두고 성참판의 둘째 부인이되었기에 귀생을 면할 수있었는데

귀생에 관련된 재미난 이야기가 올라와 있네요.

옛날 귀생은 정조도 있고 모든 면에서 뛰어난 탤랜트기질이 있었다는데

요즘의 의미가 많은 차이가 있죠? 

 



변사또가 춘향이를 태형에 처하는 장면을 연상하여

조선 시대의 형벌 제도가 '태형,장형,도형,유형,사형' 5종류로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

지금의 형벌제도와 비교해 봄직하네요. 



춘향전의 시대가 숙종으로 글 첫부분에 나와있어 혼란한 조선시대의 모습을 짐작해 볼 수있는데

춘향이의 신분및 여인이라는 처지가 꼭 춘향 자신의 모습이아니라

조선시대 힘없는 백성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음을 설명해주고 있답니다.

 

조선시대 자유연애도 어려웠을 것이고 신분타파도 어려웠을 것인데

우리 춘향이는 모든 핸디캡을 극복하고 자신의 꿈을 이룬 옛 여성이네요.

신분의 굴레를 벗어나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춘향의 굳은 의지와 절개로 예쁘게 그려진 <춘향전>덕분에

여름의 더위가 날아가 버린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