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담 고미답 : 가정 소설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고전 새로 읽기 1
엄예현 지음, 김용현 그림 / 아주좋은날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은 미래를 담은 그릇
고미담고미답
아주좋은날


 


고등부 국어 애로사항을 늘어놓으면 고전이 어렵다고들 하는데 ...
저 또한 어릴적 읽은 고전은 재미있었으나
고등부에서 걸림돌이 된 경험이 있었으니~
고전을 읽되 좀 더 탄탄한 학습법은 없을까
고민하던중 <고미담고미답 >이라는 책을 찾게 되었네요.


 

 


요즘 아이들은 책을 참 많이 읽어요.
지식도 풍부하고요,
근데,,,문제는
기본적으로 읽었겠구나~ 하는 고전과 같은 소설을 정작 모른다는 겁니다.

교과서에서도 언급이 될 정도인데
왜 고전을 가까이 접하지 못했을까요?
읽으면 참 재미있는데 일단 우리집 애들부터 챙기기위해
고전은 미래를 담은 그릇임을 설명하고 함께 독서의 길로 빠졌답니다.


 


이 책속에는 3편의 이야기가 들어 있어요.
이왕 여러편의 이야기가 함께 했으면 좋았을텐데
왜 3편뿐이지? 갸웃했는데
책을 읽어가면서 차차 전개되는 책 속 부록들이 한권의 책에 3편의 소설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이해하게 된답니다.

장화홍련전
사씨남정기
조생원전



첫편 <장화홍련전>은 조선 효종 시절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쓴 가정 소설로
<명신록>에 의하면 평안도 철산 부사 전동흘이 계모의 계략으로 억울하게 죽은 두 딸 사건을
다룬 소설이다.

장화와 홍련의 원한을 풀어주는 대목에서 통쾌한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분명 알고있는 이야기인데 본문 속 내용에 쏙 빠져들게되는 묘한 매력이 있어요.
하지만 이 책의 진가는 본문이 끝난 후에 더욱 체감하게 되니~
바로 부록이랍니다

 


 

 



원전을 기본으로 하나 어려운 한자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은 풀어 쓴
대화체형식의 장면이
대화나 인물의 심리 상태를 추가해 고전에 쉽게 접근하도록 해줍니다.

고전을 읽기 전 미리미리 알아 두면 좋은 상식들을 통해
소설의 특징과 관련된 설화들 그리고 시대적 상황을 이해하기 쉽게 담고 있어요.

특히 한자를 과목으로 하지 않는 요즘 아이들에게 한자어 풀이는 큰 힘을 실어주고
서술형 시험지와 토론식 수업을 주도해 나갈 수 있게 '미처 생각하지 못한 질문'등을 제시하여
답을 찾아 한 걸음씩 나아가게 해주니
이 책의 제목 그대로 1석 6조의 장점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토론하기'를 통해
낱말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사전적 의미도 알아보고
확장된 의미로 여러 사람의 의견을 주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게 제시하고 있으니
대답하는 사람마다 답은 다를지라도 생각하는 힘을 길러 줄 수 있겠어요.


 


지식이 풍부한 것도 좋고 혼자 생각하는 힘을 심어주는 것 또한 너무너무 좋은데
이 책에서는 고전을 통해 정보를 얻고 생각하고 토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어
한 편 읽고나면 또 다른 편의 소설이 궁금해지고
즐겁게 독후활동이 가능한 것 같네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어요.
너무 발라서 정신을 차릴 수 없을 지경이지요.
이런 상황에서 자신을 잘 지키려면 마음의 힘이 필요해요.
그 힘을 기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고전을 읽는 거예요.
고전은 우리 스스로 세상을 읽어 낼 수 있도록 다채로운 삶을 보여 주거든요.

책 표지에 쓰여진 설명처럼
현재나 미래의 거울로 삼을 수 있는 고전을 통해
세상을 읽어내는 힘을 기른다면
진정 독서하는 보람을 느낄거라 예상됩니다.


 


순수 고전 읽기 뿐만아니라 넓게 펼쳐진 확장 활동으로
한권의 책이 여러개의 효과와 기쁨을 주는 듯 합니다.
아무리 발전된 IT세상이 온다할지라도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는 감정은
그 어떤 똑똑한 기계도 따라올 수 없다는 것을 알고
교과서에 나오는 우리 고전 새로 읽기 2를 기대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