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빈곤과 기아, 그 절망의 현실과 마주하다

과거 어느 때와 견주어 봐도 더 부유해지고, 세계 각국끼리의 시간적인 거리가 더욱 가까워진 이 시대에 아이러니하게도 손닿을 길 없는 빈곤과 기아라는 절망의 그림자는 더욱 짙어지고 있다. 한쪽은 잉여 생산물이 넘쳐나고 있는 데에 반해 다른 한쪽은 빵 한 조각조차 먹을 게 없어 언제 있을지 모를 구호를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가 비만을 걱정하고 있을 때, 그들은 쓰레기를 뒤지거나 아사 직전의 상태에 내몰려 있는 것이다.

그들이 그토록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 이유는 다양하다. 척박한 땅이나 날씨와 같은 기후적 요인에서 내전, 압제와 같은 정치, 종교적인 이유 그리고 국가도 어쩌지 못하는 부의 불균형 등이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에 좀처럼 해결의 조짐이 보이지 않고 오히려 악화일로에 있다는 사실이다. 가난한 나라의 기아인구와 무심한 나라의 빈곤층은 그래서 해마다 그 수가 늘어나고 있다.

더불어 더욱 안 좋은 여건은 이들을 도울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인 세계의 이웃들이 불충분한 구호 외에 다른 내놓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나는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를 통해 프랑스와 미국, 유럽연합 등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아프리카나 남미 지역의 평화와 민주화를 방해했으며 그들이 스스로 자립하지 못하고 대다수의 국민들이 폭군과 전쟁에 시달리면서 타국의 작은 원조만을 기다리게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나는 풍부한 천연자원과 비옥한 토양을 가진 몇몇 아프리카 나라들이 오로지 돈에 눈이 먼 군벌들과 기생충 같은 국가의 수뇌부들 때문에 가난에 허덕이는 줄 알았었다. 물론 이 같은 경우도 맞는 이야기지만 가려진 또 하나의 사실인 선진국들의 은밀한 방해공작이 그들의 궁핍한 삶을 더욱 부채질했다. 의지와는 상관없이 단일 작물만을 재배해야 하는 나라, 헐값에 질 좋은 생산물을 헌납해야 하는 나라, 바로 이들 나라 뒤에는 몇몇 선진국들의 검은 손이 있었다.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기는커녕 목숨조차 위협하는 나라를 의지하고 살아야 하는 그들의 삶은 처참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기아는 거의 필연적인 일이다. 이런 상황에서 기아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대책인 구호의 손길 역시도 미약하다. 가망이 없는 이에게는 치료조차 할 수 없으며 접근 불가능한 나라에 있는 사람에게는 음식물조차 전달할 수 없다. 난관은 그야말로 첩첩산중이고, 보급품은 절대부족인 상황에 있다.

기아는 현재 전 세계 곳곳에 만연된, 최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지만 우리는 그 상황조차 잘 모르고 있다. 신종 플루와 같이 자국의 국민이 위협당하는 일이 아니면 언론에서는 거의 언급조차 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영양 결핍으로 생사를 헤매는 아이들과 더럽고 오염된 음식을 먹는 사람들이 최악의 상황에서 겨우 목숨을 이어가고 있지만 어느 누구도 그런 삶에 주목하지도 관여하지도 않고 있다.

그렇다면 희망은 없는 것일까? 이 책의 저자의 말을 빌리자면 사회 구조의 근본적인 전복이 필요하다고 한다. 우선 신자유주의 같은 폐단 많은 시장원리를 없애고, 부의 불평등을 획기적으로 개산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또한 가난한 나라 역시 개혁의 칼을 세워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빈곤과 기아의 세계화를 막는 시작은 집중된 부와 권력을 누그러뜨리고, 자력으로 일어서는 법을 터득하는 것부터 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