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와 귀울음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0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내 머릿속의 추리극

스치듯 지나가는 진부한 일상의 모습에서 남다른 직관과 빼어난 관찰력을 통해 그 이면에 숨겨진 진실이 무엇인지 추리하는 <코끼리와 귀울음>은 일상추리의 잔잔한 재미를 선사하는 흥미로운 소설이다. 사실 이 소설을 읽는 동안 비슷한 형식의 두 책이 머릿속에 떠올라 나도 모르는 사이 서로 간의 우열을 다투는 진기한 상상으로까지 이어졌다.

그 두 책의 제목은 <쓸쓸한 사냥꾼>과 <나의 미스터리한 일상>이다. <쓸쓸한 사냥꾼>은 연작소설의 형식을 취하면서 노년의 주인공이 이런저런 사건에 대해 날카로운 추리를 한다는 점에서 <코끼리와 귀울음>의 전반적인 형식과 닮아있고, <나의 미스터리한 일상>은 일상의 파편들로 숨겨진 진실을 추리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 세 소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의 개성만은 확연히 구분된다. 인과관계가 뚜렷한 채 사건이 부각되는 게 미야베 미유키 식(쓸쓸한 사냥꾼)이라면 흔하디흔한 소재를 가지고 갖은 정황근거를 들먹이며 추리를 이어나가는 게 와카타케 나나미 식(나의 미스터리한 일상)이라고 하겠다.

반면에 <코끼리와 귀울음>에서 보여준 온다 리쿠의 추리는 끝없이 뻗어가는 상상의 가지에 논리의 열매가 열리는, 그야말로 머릿속 세계의 극치를 보여준다. 눈에 띄는 작은 행동, 귀가 솔깃해지는 말 한마디에 착안해서 사건을 재구성하고, 때로는 제 3자의 입장에서 사건의 배경과 공간의 특이성에 주목해 미궁에 빠진 일들을 해결하기도 한다.

<코끼리와 귀울음>에 나오는 열두 편의 추리 극들은 하나같이 정황의 논리로 사건의 실마리를 찾는 이야기다. 정정한 노인 다카오와 그의 아들 슈운 그리고 그의 딸 나쓰는 '피는 못 속인다'는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다양한 사건에서 특유의 추리력을 마음껏 과시한다. 물론 다카오 할아버지가 추리하는 내용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때로는 사건의 중심에서 때로는 아이들의 이야기에서 때로는 한 장의 사진위에서 그들의 추리는 불을 뿜는다. 하지만 머릿속 세계에서만 진행되는 그들의 추리는 종종 선을 넘어 '비약'의 공간으로 넘어가기도 하고, 어이없이 공상의 세계로 빠져들기도 한다. 논리만 따지다가 정작 중요한 근거를 망각한 채 사건의 본질에 다가가지 못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그들이 펼치는 추리는 재미있다. 솔직히 놀랍거나 감탄할만한 정도는 아니지만 '그런 식으로도 생각할 수 있겠구나'하는 생각과 함께 소소한 즐거움을 안겨준다. 편린 같은 증거들만 남은 사건에 상상력이라는 접합제가 더해져 논리라는 공정을 거친 추리야말로 미궁에 빠진 사건에 활력을 넣는 제3의 눈은 아닐지. 게다가 잘만하면 진실에 다가가는 또 다른 통로가 될 수 있으니 좋은 면도 있다. 일상의 틈바구니에서 숨이 막힐 때 재빨리 눈을 돌려 나만의 추리세계로 빠져보는 건 어떨지... 뭐 그렇게 해서 지명수배자라도 잡는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