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부패사건에 휘말리다 - 조말생 뇌물사건의 재구성
서정민 지음 / 살림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부패'라는 키워드로 다시보는 세종시대

최근 세종에 관한 책들을 두루 섭렵하면서 세종시대에 관한 많은 정보를 얻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정보 가운데서도 몇몇 책에서 짧게나마 다뤄졌던 세종시대의 부패나 비리에 관한 내용들을 호기심어린 마음에 유독 관심 있게 보게 되었다. 다른 시대도 아닌 세종시대에도 그런 일이 벌어졌다는 놀라움과 의구심 때문에 좀 더 구체적인 내막을 알고 싶었으나 그와 관계되는 책을 찾지 못했다.

그런 중에 만나게 된 것이 <세종, 부패사건에 휘말리다>라는 책이다. 사실 제목만 듣고는 세종시대 있었던 모든 비리나 부패사건을 총망라한 책인 줄 알았는데 막상 책을 보고나니 그 중 특정한 한 사건만 다룬 책이었다. 그래서 책의 부제가 -조말생 뇌물사건의 재구성-이다. 단행본 역사서 치고는 책이 유난히 얇고 작아 보여 좀 의아하게 생각했는데 역시 특정사건만을 다루다 보니 그럴 수밖에...

이야기는 맞바로 세종대에 벌어졌던 희대의 "권력형 비리사건"의 전말에 대해서 자세히 그리는 것으로 시작한다.

내용을 요약해보면 조말생이라는 고위공직자가 사적으로 노비를 받아 부를 착복했으며 그 대가로 각종 이권을 허용해 주고, 인사상의 특혜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고위공직자가 연루된 부패의 전모가 알려지자 그의 죄를 추궁하는 상소가 빗발쳤고, 결국 그는 귀양을 떠나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부터 시작한다. 조말생은 죄에 대한 벌로 귀양길에 올랐지만 사헌부나 사간원 등의 관리들과 대신들은 죄가 크다며 사형을 주장하는 것이다. 하지만 세종은 조말생을 아껴 그를 결단코 죽이려 하지 않는다. 끈질기게 사형을 주장하는 신료들과 자신이 아끼는 신하를 보호하려는 세종의 긴 싸움은 계속되고 결국 세종의 승리로 마무리된다. 한편 세종은 조말생의 벌을 줄여주는 것도 모자라 그를 재선임하기에 이른다. 이 또한 다른 신하들의 큰 반발을 불러왔지만 결국 세종의 뜻이 관철되고, 조말생은 복진된다. 게다가 세종의 뜻에 부응해 완벽히 자신의 임무를 수행한다.

세종과 대신들의 조말생의 형량에 관해 논쟁했던 일을 1차전, 조말생의 복귀문제와 관해 논쟁했던 일을 2차전이라고 하면, 3차전은 조말생 자신의 신원회복을 위한 것이었다. 그는 세종이 자신을 신임하고 있다는 자신감과 과거 못지않게 높아진 위신으로 여러 차례 상소를 올려 자신의 죄가 없음을 밝히는 논쟁의 불씨를 키우려 하지만 세종은 이를 묵과하고 단지 그의 능력만 높이 사고, 그에게 있어 부당한 대우를 해소해 주는 선에서만 일을 마무리 짓는다. 그리고 끝내 그는 자신의 죄를 백지상태로 만들진 못한다.

이처럼 <세종, 부패사건에 휘말리다>는 세종시대에 아주 긴 시간동안 벌어졌던 한 비리 사건을 추적하면서 그 사건이 어떤 식으로 처리가 되며, 그 과정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되짚어 보고 있다. 마땅히 사형에 처해질 죄임에도 죄인의 능력을 우선시해 확고한 감형을 택했던 세종의 조치는 법치주의에 반하는 행동이었지만 꼭 필요한 인재라는 확신만으로 끝까지 소신을 굽히지 않았던 그의 확고한 신념은 실용주의가 어떤 것인지, 어떤 일에 함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어떻게 정해져야 하는 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다소 부족함을 느꼈던 것은 각주가 없다는 점이다. 책의 내용 중 형법에 관한 용어이나 각종 한자어 등 각주를 달아 설명을 요하는 내용이 많음에도 각주가 전혀 달려 있지 않았다. 그리고 몇 개의 단어들은 글 속에서 설명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지만 이는 오히려 글을 어렵게 느끼게 할 뿐이다.

부패는 정직하지 못함으로 발생하는 일이다. 그리고 정직하지 못한 사람에겐 믿음을 가질 수 없는 게 당연하다. 하지만 세종은 ''필요한 인재''라는 생각으로 정직하지 못한 조말생의 능력을 믿었고, 그것은 뚜렷한 성과로 이어졌다.

세종의 굽히지 않은 소신과 믿음. 그것은 우리가 배워야 할 진정한 리더십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