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비실록 - 숨겨진 절반의 역사
신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조선시대 이야기는 국사시간에 들었던 것 보다 드라마를 통해서 본 내용이 더 기억에 남았던 것 같다. 고려말에서 세종초까지의 내용을 다룬 "용의 눈물"이나 단종에서 연산군까지를 다룬 "왕과 비" 그리고 "불멸의 이순신" 등은 빼놓지 않고 봤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역사를 다룬 책들은 그리 호락호락하게 읽히지 않는다.
박영규씨의 '조선왕조실록'같은 책은 한 시대의 역사를 한권에 집약해서 쓴 책인데 한번에 다 읽기도 어렵거니와 제대로 머리에 남는 내용이 거의 없었다.
그나마 잘 읽혔던 책은 이덕일씨의 '사도세자의 고백' 처럼 역사의 일부분을 화제로 삼아 이야기한 책이었다.

이 '조선왕비실록'은 전자보다는 후자에 가깝다고 할 수 있겠다.
즉 딱딱한 역사를 독자의 기호에 맞게 사건 중심으로 풀이해서 쓴 책이다.

이 책은 시간의 순서대로 7명의 왕비를 다루고 있는데, 모두 바람 잘 날 없는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것 같다. 부귀도 권력도 있었지만 아픔과 상처 또한 있었다. 어렵게 얻은 왕비라는 자리는 더 큰 어려움을 견뎌야 하는 자리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 등장하는 태조 이성계의 부인 신덕왕후 강씨는 태조의 극진한 사랑을 받았고 배다른 아들인 방원(태종)과도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자신의 아들을 왕으로 세우려는 욕심에 모든 걸 잃고 쓸쓸한 삶을 살게 된다.

두번째의 태종의 비 원경왕후 민씨 또한 다르지 않다.
세종의 어머니였으나 가문이 멸문지화당하는 아픔을 맛봐야 했다.

세번째의 세조의 비 정희왕후 윤씨는 비교적 현명한 처세로 오랫동안 왕실의 어른이었으나 조카를 죽이고 왕위에 오른 남편에 대한 원혼들의 저주 때문인지 자식들을 먼저 보내는 고통을 받아야 했다.

네번째의 소혜왕후(인수대비) 한씨는 세조의 큰며느리로 성종의 생모이자 연산군의 할머니다.
세자인 남편이 이른 나이에 죽는 바람에 왕비의 자리에도 오르지 못했고, 정희왕후와 더불어 오랫동안 왕실의 어른이었으나 폐비윤씨사건으로 연산군에게 온갖 피박과 홀대를 받으며 불행한 말년을 보낸다.

다섯번째의 인목왕후(인목대비) 김씨는 전란중에 이미 50세가 넘은 선조와 혼인을 맺는다.
이는 불행의 씨앗으로 선조의 뒤를 이어 왕이 되는 광해군에게 아들 영창대군을 잃게 되고 자신은 서궁에 폐위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된다.
하지만 인조반정으로 권위를 되찾고 하나 남은 딸과 사위에 의지하며 말년을 보낸다.

여섯번째의 사도세자의 부인 혜경궁 홍씨는 가장 주의깊게 봤던 부분이다. 전에 읽었던 '사도세자의 고백'이나 '한중록'의 내용과 겹치기 때문이다. 작가는 이 부분에서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나 권력의 이해관계를 최대한 줄이고 궁중의 여인으로서의 홍씨를 다루고 있다. 홍씨가 남편을 버리고 아들을 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잘 묘사된 것 같다.

마지막 고종의 비 명성왕후 민씨는  진취적이고 개혁적인 여성이었으나 수구,척화 노선이었던 시아버지인 흥선대원군과 항상 대립하고 갈등을 빚게 된다. 게다가 열강들의 틈바구니에서 나라의 장래는 그야말로 풍전등화...러시아세력을 이용해 일본을 견제하려던 민씨의 노력은 일본에 위기감을 조성했고, 결국 일본의 임모로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이 책에서 다루는 7명의 왕비는 저자의 표현대로 정치적,문화적으로 특출한 면모를 보여주었기에 선정되었다. 모든 왕비를 다루지 못했음을 저자 또한 아쉽게 여기고 있지만, 희빈 장씨를 상대로 권력싸움의 정점에 있던  인현왕후 민씨라든가 '여인천하'시대를 살았던 문정왕후 윤씨는 포함됐어야 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

이런 아쉬움은 이 책의 속편이나 증보판이 나오길 기대하는 마음으로 접어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