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조선이다 - 조선의 태평성대를 이룩한 대왕 세종
이한 지음 / 청아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최근들어 세종에 관한 서적들이 범람하고 있다. 정권 교체기를 맞아 새시대를 이끌어갈 리더의 모습을 찾기 위해서인지 아니면 단순히 '사극열풍'의 영향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국민 모두가 너나할 것없이 존경하는 인물에 관한 서적이 왕성하게 출간되고 있는 점은 '시류에 편승한 상업적 이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다분히 긍정적으로 생각해도 괜찮을 듯싶다.

제목에도 쓰여있듯이 세종의 치세에 있던 기간을 흔히들 '태평성대'라고 한다. 물론 이 말은 지극히 현대적이고 상대적인 관점에서 나온 말일 것이다. 현대의 눈으로 볼 때 세종시대는 백성을 괴롭히는 지독한 조세수탈이나 다른 나라와의 전쟁이 없었던 '안정된 사회'였고, 역대 조선의 왕 중에 유일하게 당파싸움이나 사화, 외척에 의한 세도정치가 없었던 '조화로운 시기'였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세종은 건국 초기의 혼란과 왕위를 둘러싼 오해를 없애고 안정된 사회를 만들 수 있었는지 사뭇 궁금해진다.

희대의 책벌레 왕위에 오르다.

모두가 아는 것처럼 세종은 적장자가 아니었다. 세종은 아버지 태종의 셋째 아들로 '왕가의 혈통'을 이을 처지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태종의 첫째아들이며 상당기간 세자로 있었던 양녕대군이 갖은 기행과 말썽을 일삼자 결국 '학구파' 세종이 세자의 자리에 오르게 되고, 곧 조선의 4대 왕이 된다. 엉겁결에 왕위에 오른 세종은 아버지 태종에 의지하면서 정치를 배워나갔고, 머지않아 자신의 시대를 열게 된다.

조선이란 집은 지은 사람들

세종이 즉위할 당시 조선은 아직 그  체계가 바로잡히지 않은 신흥국이었다. 이전 시대인 고려시대의 풍습이 아직 남아있고, 사대국인 명나라 사신접대에도 서투를 만큼 외교력도 부족한 '모자른 국가'였다. 하지만 예악을 정리하고, 각종 서적 편찬에 열을 올렸던 세종의 노력과 그 뜻에 부응하려 노력했던 집현전 학자들을 비롯한 황희, 맹사성, 박연 ,장영실 등 매우 뛰어난 인재들의 활약으로 조선이란 나라는 차츰 그 틀을 잡아갔다.

양지에서 음지로

빛이 있으면 어둠도 있는 법. 화려하게 꽃피웟던 세종시대가 막을 내릴 무렵 영원할 것 같던 그 시대에 짙은 그림자 드리워진다. 세종의 승하와 뒤이은 문종의 때이른 죽음. 어린 단종의 즉위와 수양대군의 왕위찬탈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은 피로 물들인 왕좌만큼이나 처절하고 잔인하게 세종이 이룩한 많은 것들을 물거품으로 만든다. 노년의 세종이 힘에 부쳐 여러 아들들을 정치에 참여하게 했는데 이것이 도리어 끔찍한 악몽이 될 줄이야...이후 조선은 두번 다시 세종과 같은 '성군'을 만나지 못하니 세조의 찬탈은 큰 아쉬움을 남긴다.

성군 세종과 함께 그의 나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초창기 조선의 모습을 보면서 '진정한 리더'의 역할은 무엇인지 '인재 양성'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생각해 본다. 그가 만든 한글이 이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준 최고의 선물이었다면 다음 시대를 살아갈 후손들에게 줄 최고의 선물은 무엇이 될 지 생각해 보면서 이 책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