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 흡혈마전
김나경 지음 / 창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토지 13권을 완독하고 나니,
왠지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책이 읽고 싶었다.
그렇다고 너무 무겁지도 않은 그런 책.
책장을 뒤지다가 이번 국제도서전에서
데려온 1931 흡혈마전을 발견하고
이거다!! 하고 바로 읽어보았다.

* 1931년 경성, 진화여자보통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희덕은 할아버지의 유언으로
보통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이어 갈 수 있었다.

* 철제 침대에서 일어나는 것도 이제
슬슬 적응이 되어갈 무렵,
기숙사 사감 선생님이 바뀌게 되었다.
새로 오신 사감 선생님은 온통 까만 옷을 입고
하얀 피부에 빨간 입술을 가진 여자였다.

* 딱히 사감의 일에 관심도 없어 보이고,
학생들을 귀찮아 해 보이기도 하는 사감 선생 계월.
그런데 희한하게 또 학생들은 모두 그녀를 좋아했다.

* 희덕의 친구 경애는 계월이 일본에서 보낸
스파이가 아닌지 의심했다.
하지만 희덕은 알고 있다.
진짜 계월의 정체를.
그녀가 살아있는 인간의 피를 빠는 모습을 본 것이다!

* 계월의 능력은 희덕의 상상을 초월했다.
눈이 마주치자 모든 사람들이 풀썩풀썩 쓰러진 것.
그런데 왜 희덕은 멀쩡한 거지?
계월도 자신의 능력이 먹히지 않는
희덕을 보며 당황한 기색이다.

* 흡혈마 사감 선생과 용감하고 씩씩한 희덕의 이야기.
1931년이 배경이다 보니 광주학생사건 이야기도 나온다.
학교에서 일본인 선생들과 다른 외국인 선생들의
차이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 1866년 병인양요의 이야기부터 시작된 이 책은
식민지의 여성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이었는지,
그들이 어떤 마음과 어떤 모습으로 살았는지를 보여주면서
1931년의 흡혈마와 한 소녀의 이야기를
생동감있게 잘 그려냈다.

* 너무 가볍지도 않지만, 또 너무 무겁지도 않은 책.
광주학생사건에 대해 미리 알고 있지 않아도
충분히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나는 토지에서 한번, 흡혈마전에서 한번 보다보니
뭔가 복습한 느낌이었다.

* 어째서 희덕에게 계월의 능력이 먹히지 않았는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한가지 확실한 건, 희덕은 계월을 비롯한 모든 이에게
용기를 주는 아이라는 것이다.
오랜만에 흐뭇하게 미소지어지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