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의 경계
야쿠마루 가쿠 지음, 남소현 옮김 / 북플라자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북플라자에서 서평으로 만나본 죄의 경계.
야쿠마루 가쿠라는 작가의 명성도 책을 고르는데
일조를 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역시나
‘묻지마 범죄’를 바탕으로 쓴 책이라는 점이었다.

* 우리나라에서도 얼마전부터 심심치 않게
들리는 뉴스 소식인 묻지마 범죄.
당시 피해자들은 범인과 일면식도 없는 이들이었고
운 나쁘게도 그 시간에 그 장소에 있었기 때문에
범죄의 피해자가 된 사람들이었다.

* 죄의 경계 속 아카리도 마찬가지였다.
26번째 생일 날, 남자친구인 코헤이로부터
약속을 취소당한 아카리.
그대로 집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았던 아카리는
디저트 가게를 찾아서 횡단보도를 건너 던 중
한 남자와 스치듯 눈이 마주치게 된다.
이후 이상한 외침과 함께 도끼를 들고
아카리를 습격한 그 남자.

* 아카리는 큰 부상을 당하지만 다행히 목숨은 구했다.
아카리를 구해주고 대신 죽음을 맞이한
한 중년 남성 덕분이었다.
그의 마지막 말은 ‘약속은 지켰다고··· 전해줘···.’였다.
누구에게 이 말을 전해줘야 하는지
왜 이런 말을 남기고 죽었는지도 몰랐던 아카리.

* 한편 잡지 기사인 쇼고는 우연히 뉴스에서
범인의 전 직장 사장이었던 사람의 인터뷰를 보게 된다.
사장은 범인인 케이치가 가족도 없고
어린 시절 학대 받은 흔적이 있는 남자였다고 얘기한다.
자신과 비슷한 과거를 가진 케이치가 궁금했던 쇼고.
그는 케이치를 만나 둘의 불행한 어린시절을 담은
책을 출간하자고 제안한다.
케이치는 책을 출간하는 조건으로 자신의 어머니를
찾아달라고 요구한다.

* 묻지마 범죄 사건의 피해자는 자신의 은인의
흔적을 뒤쫓고, 묻지마 범죄 사건의 가해자는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담아 어머니에게
복수하고자 한다.
그렇게 같은 사건을 두고 다른 두 사람의
흔적을 찾게 되는 아카리와 쇼고.
이 이면에는 어린 시절의 방임과 아동학대,
세대를 거쳐서 내려온 학대의 대물림이 있었다.

* 불행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고 해서
모든 이들이 케이치처럼 강력범죄를 저지르진 않는다.
아카리는 이것을 죄의 경계라고 표현했다.
힘들게 살아도 이 경계를 넘지 않는 이들이 있다.
그리고 이 경계를 넘는 이유가 불우한 어린 시절이라는 것은
그저 핑계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누구나 살아가면서 힘든 순간은 있기 마련인데
그때마다 사람을 죽이지는 않으니까.

* 사실 책의 초반부는 조금 의아했었다.
피해자였던 아카리는 아키히로의 마지막 말은
안중에도 없다는 듯이 자신의 아픔과 분노와
공포에만 쌓여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마지막 페이지를 덮으면서는 오히려
이런 아카리의 심리상태를 잘 표현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 길을 가다가 갑자기 모르는 남자가 휘둘린 도끼에 맞고
그런 나를 구하려다가 다른 사람이 죽게 되었는데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훌훌 털고 일어나서
그 남자의 삶을 캐는 것도 무리가 있었을 듯싶다.
이대로 아카리가 무너지면 어쩌나 싶었는데
다행히 그녀는 스스로 용기를 낼 줄 아는 사람이었다.

* 묻지마 범죄도 충격인데 그 배경도 평범하지 않아서
작가가 전달해주는 메시지가 묵직하게 다가온다.
책에서 나오는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주변에서도 볼 수 있는 현실적인 이야기에
더 공감하고 몰입해서 읽어볼 수 있었다.

* 케이치와 비슷한 어린시절을 보내고 있는
토무의 이야기는 내내 마음이 아렸다.
이 아이의 미래는 부디 밝은 빛이길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