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금 - 금을 삼키다
장다혜 지음 / 북레시피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탄금. 죽을 때까지 금을 삼켜애 했던 형벌이다.
얼핏 생각하면 사치스러운 죽음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사람이 목구멍까지 금으로 채워져
금 때문에 장이 막히고, 내장에 상처가 생겨
죽을 때까지 고통에 몸부림치는 무서운 형벌이다.
처음 제목을 봤을 때는 이런 형벌을 받은
사람의 이야기가 아닐까 짐작했었다.
그리고 드라마로, 웹툰으로 제작된다는 얘기를 듣고
다시 읽어보았다.

* 누구보다 사이좋은 남매 재이와 홍랑.
하지만 실제로는 민상단댁 씨받이의 아들도 아닌 딸과
금으로도 못 바꾼다는 금자이다.

​* 민씨 부인은 불면 날아갈까 애지중지하는
금자 홍랑을 위해 조선 최고의 만신이라고 하는
귀곡자로부터 신물을 받았다.
이 신물일 홍랑을 지켜줄 거라 굳게 믿고 있는 민씨였지만
홍랑은 어머니의 믿음을 져버리고 만다.

*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어머니에게 혼이 났던
재이를 웃게 해주고 싶었던 홍랑.
그는 신물을 재이에게 맡긴 후,
남산에서 동백꽃을 꺾어 올테니 그동안
누이가 잘 맡아주라고 얘기한다.

​* 하지만 다음날이 되어도, 그 다음 날이 되어도
홍랑은 결국 돌아오지 않았다.
심열국은 인간 채집꾼으로 불리는 추노꾼
독개까지 들이지만 홍랑은 어떻게 된 일인지
머리카락 한 올도 찾을 수 없었다.

* 결국 심열국은 쇠락한 양반집 자제를
이천 냥을 주고 데리고 온다.
홍랑의 자리를 대신할 이는 무진이라는 이름을 받게 되고,
그렇게 재이와 남매가 되었다.

​* 10년이 흐른 후, 강산이 한 번 바뀔 만한 시간.
독개는 민씨 부인과 꼭 닮은 이에 무지개 홍, 밝을 랑자를
쓰는 이가 있다며 홍랑을 데리고 온다.
홍랑은 해월루라는 곳에서 검계가 되어 있었던 남자.
그 남자를 보자 심열국과 민씨 부인은 진짜
자신의 아들이 돌아왔다고 확신한다.
하지만 유독 재이는 자신의 동생이 아니라며 소리친다.

* 재이의 신세가 늘 그러하 듯,
그녀의 주장은 묵살되었고 돌아온 홍랑과 재이는
단둘이 함월에 다녀오게 된다.
함께 하는 여행길에서 재이는 진짜 홍랑이
가지고 있었던 습관들을 보고 흔들리게 된다.
결국 그가 진짜 자신의 동생이라고 믿는 재이.
그러나 재이는 이미 홍랑을 한 남자로 바라보고 있었다.

​* 한편, 돌아온 홍랑으로 인해 내쳐지게 된 무진.
무진은 아버지에게서 내쳐졌다는 사실보다
재이가 홍랑을 바라보고 있다는 사실이
더 마음 아프다.
그는 끊임없이 심열국과 재이를 설득하려고 하지만
그 어느 누구도 무진의 말을 들어주는 사람이 없었다.

​* 아들이 돌아왔다는 기쁨도 잠시,
심열국은 민상단의 단주 김굉표에 의해
돌아온 홍랑의 정체를 알게 된다.
심열국의 아들이 된 홍랑과 그를 마음에 두고 있는 재이.
민상단부터 재이까지 자신이 가지고 있었던
모든 것들을 홍랑에게 빼앗긴 무진.
금을 삼킬 자, 과연 누구인가.

* 책의 마지막 장을 엎을 때,
예나 지금이나 마음은 먹먹했다.
궁궐만큼 호화로운 민상단이었지만
그 언저리 작은 전각에 갇힌 채 살아야 했던 재이.

​* 쥐똥이었다가, 모지리었다가, 신묘였다가,
다시 홍랑이 된.
본인의 의지로 자신의 삶을 한 번도 살아보지 못한 홍랑.
돈에 이끌려 아비와 생이별을 하고
10년을 하인처럼 살다가 결국 모든 걸
빼앗겨 버린 무진.

​* 정인과 헤어져 원친 않은 결혼을 해야 했던 심열국.
본인이 원하는 결혼이었지만 자신을 봐주지 않은
지아비 때문에 외로움과 질투에 몸부림쳐야 했던 민씨 부인.

​* 살아있는 것 자체가 탄금.
금을 삼키는 형벌을 받은 이들이 아닐까 싶다.
이 금을 삼키면 곧 죽는다는 것을 알지만,
기어이 삼킬 수밖에 없었던 이 홍랑.
홍랑과 재이의 삶이, 그리고 그들의 사랑이
너무 안쓰러워서 마음이 아팠다.

​* 24절기를 목차로 내세운 것도,
진짜 홍랑의 실종사건이 밝혀지는 스토리 전개와
주인공들의 인과관계, 대사까지
나무랄 데 없는 작품이었다.
이러니 드라마로 나오지~
간간이, 재이가 어떻게 살고 있는지
꿋꿋하게 잘 지내고 있는지 들여다보고 싶은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