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과 나 - 배명훈 연작소설집
배명훈 지음 / 래빗홀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래빗홀 2기로 받아본 책!
화성이라고 하면 행성보다는 경기도 화성이나,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선 온 여자'가 더
익숙한 내가 행성 화성을 배경으로 한 책을 읽었다.
어렵지 않을까~ 처음에는 내심 걱정했었는데
키트로 받아본 '김조안과 함께라면'을 읽고 나서
나도 할 수 있겠다!라는 용기를 얻었다.

*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하던가.
화성으로 이주를 하게 되면 그냥 영화에서처럼
뚝딱뚝딱 집을 만들고, 먹을 것을 만들어 내고
지구와 좀 다른 환경이지만
사는 데는 크게 다를 바가 없을 것이라 생각했다.

*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나서 생각이 바뀌었다.
화성 이주. 얼마나 큰일인지 새삼 피부로 와닿았다.
새로운 문화와 문명을 만들어야 했고
다음 화성인들을 위해서 기록도 해야 한다.
나는 왜 이것을 생각하지 못했을까?

* 문화인류학 전공자인 내가
요즘 너무 편히 살아왔구나, 하고 반성하게 됐다.
집 이사하는 것처럼 간단한 게 아니라
새로운 규율과 규범, 법을 만들어야 했고
이들이 살아온 환경과 문화들을 남김과 동시에
발전시키기도 해야 했다.

​* 여러 인종, 여러 박사들이 같이 사는 공간에
범죄도 생겨났고 친구도 생겼다.
그리고 뜻하지 않은 사고도 생긴다.
모래폭풍과 태양풍에 싸워야 하고
먹고 싶은 음식도 제대로 먹지 못한다.

* 만약에 내가 화성을 가게 된다면,
나는 어떤 일을 하게 될까?
혹은 어떤 일을 맡게 될까? 생각하면서
책을 읽었는데 화성에 간장게장이 없다는 대목을 보고
아, 나는 화성에 못 가겠구나~ 했다.
해산물 킬러인 나는 '먹고 죽은 귀신은 때깔도 곱다!'를 외치며
장렬히 지구와 함께 전사를 택하겠다.

* 화성에서 산다는 것은 내가 죽은 뒤에
아주아주 먼 미래의 일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런데 배명훈 작가님이
<화성의 행성정치 : 인류 정착 시기 화성 거버넌스 시스템의
형성에 관한 장기 우주 전략 연구>를 수행하셨다는
얘기를 듣고서 어쩌면,
화성 이주가 그리 먼 미래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 아, 물론 바닷가가 없는 화성에 나는
가지 않을 것이다.
그치만, 여행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
물론 26개월을 있다가 와야 하는 장기 여행이지만.

​* 책 속의 화성인들은 완전한 정착민이라기보다는
이들도 정착 과정을 겪어가는 과도기에
흔들리고, 고민하고, 부딪히며 싸우는 모습들이 보였다.
화성에서 태어난 아이도 있던데
화성인 2세들은 지구인일까, 화성인일까?
태어나서 화성을 벗어나 본 적이 없다면,
정체성에 의문이 들지는 않을까?
등등 많은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게 만든 책이었다.
뼛속까지 문과생인 내가

화성과 좀 친해진 느낌이 드는 건, 기분 탓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