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역의 맛있는 우리말 200
박재역 지음 / 글로벌콘텐츠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상 속 다양한 표현에 풍미를 더하는 맛있는 우리말 모음집

중학교 교사, 동아일보 교열기자, 중국해양대 한국학과 초빙교수를 거쳐 한국어문 교열연구원을 운영 중이라는 저자 박재역. 저자가 말하는 글의 품격이 궁금했다. 저자는 교열 전문가 답게 아무리 감동을 주는 글이라도 기본 어법에 따라 쓴 글이 아니라면 결코 잘 쓴 글이라 할 수 없다고 했다. 나도 그 말에 동의한다. 요즘 이메일, 메신저 등으로 대화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그 사람의 신뢰도를 판단하는데 맞춤법이 크고작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우선 목차를 읽으며 어떤 맞춤법 이야기일지 예상 아니 내가 알고 있는 것들을 점검 해봤다. 첫번째 단락에서는 <‘망고하다’ '수박하다' '자몽하다'>, <얼간에의 반대말은 얼찬이>, <친손주면 어떻고 청량리아이면 어떠랴> 정도가 있었다. <‘망고하다’ '수박하다' '자몽하다'>는 언어유희 같지만 각각의 뜻이 있다. 그 뜻은 '망고하다 - 끝판에 이르다/ 수박하다 - 붙잡아 묶다/ 자몽하다 - 정신이 흐릿하다'라고 한다. 그 외에도 감자하다. 고추하다. 대추하다 등 재미있는 표현이 많다.

많이 쓰는 말들 중에 잘못된 비문으로 <행복한 하루가 되세요 라고 할 수 없는 이유 >, <자문은 구하거나 받는게 아니다>, <피해야 하는 표현 누구에게 공유하다>가 기억에 남는다. 너무 자주 썼던 말들이라 그런지 머쓱하기까지 했다.

’행복한 하루가 되세요‘라고 할 수 없는 이유는 사람은 절대 행복한 하루, 좋은 하루가 될 수 없다는 것. 사람이 어떻게 하루가 되겠는가? ‘좋은 하루 보내세요’가 바른 표현이다. 또 ‘행복하다, 건강하다’는 명령형이나 청유형으로 쓸 수 없다고도 했다. 그래서 ‘오늘도 행복하세요’나 ‘얼른 건강하세요’는 비문이라고 했다. 바른 표현은 ‘행복하게 지내세요.’ ‘건강을 회복하세요’라니 앞으로 주의해야겠다.

자문하면 조언이나 충고, 도움을 받는 것이므로 자문은 구하거나 받는다는 의미로 쓸 수 없다고 한다. ’자문해서 조언을 받았다‘가 바른 표현이라는 것이다. 또, '공유하다'는 목적어와 필수부사어를 동반하는 타동사이기 때문에 -와(과) -을 공유하다의 형식이어야 맞다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담당자에게 공유하다’는 비문이고 ‘담당자와 파일을 공유하다'로 써야 한다고 했다.

저자는 생활에서 무심코 쓰는 말이지만 맞춤법이 맞나? 하고 생각하게 하는 일상의 언어를 주제 삼아 글을 쓰기 시작했고 그 글들이 모여 이 책이 되었다고 했다. 정말 아주 일상적인 말들이라 200개 모두 기억하고 싶어졌다. 저자의 설명이 약간 문법적이라 조금 낯설기도 하지만 예문으로 이해를 도와 아주 어렵지는 않다. 잘 읽고 내 글의 글격을 높이고 싶어졌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