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치 - 전민식 장편소설
전민식 지음 / 마시멜로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진왜란 그 후 100년 전 그날의 이야기를
3.1운동 그 후 100년의 오늘 만난다!


요즘처럼 일본과의 관계가 시끄러운 시절에 조선시대 노비 안용복이 일본을 방문해 독도가 조선 땅임을 외쳤다는 소설. 어떤 이야기일까 궁금했다.

처음 씬은 독도에서 몰래 고기잡이를 하고 있는 안용복 일행이 강치를 마구잡이로 살육, 사냥하는 일본 뱃사람들을 목격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조선이 독도에 도해금지령을 내린 상황에서 안용복 일행은 몰래 낚시를 하던 중이었고, 일본 사람들은 자신들의 땅 독도에 허가를 받고 사냥 나왔는데 자신들의 어장을 침범한 조선인들을 만난 것이다. 인원도 많고 화승총 등 무기가 앞선 일본 사람들이 안용복과 업동이, 어둔을 제압하는 과정에서 업동이가 사망하고 안용복과 어둔은 일본으로 끌려가게 된다.
안용복은 업동이가 죽는 과정에서 나라가 바로 서지 못하면, 내 것을 내 것이라 말하지 못하면 모두다 빼앗긴다는 것을 절실히 느꼈고 히로카츠쿠미와 대화를 하던 중 자신에게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살아 남는 것'이라는 씁쓸한 현실 또한 되새긴다.
안용복은 일본에서 쇼군을 만나고 쇼군으로부터 서계를 받아 돌아오던 중 일본 상인 패거리들에게 다시 납치를 당하고 우여곡절 끝에 조선에 돌아왔지만...

읽기 전에 가졌던 궁금증. 안용복이 어떻게 일본에 가서 독도와 울릉도가 우리나라 땅임을 이야기하게 되었는지? 그가 왜? 왜 그런 일을?
사건은 이리저리 엮여있지만 그 이유는 그가 일본으로 떠나기 전날 그의 어머니가 한 말에 모두 담긴 듯 하다.
"제가 왜 조선을 위해 그래야 합니까?"
"너는 조선 사람이니까. 너는 조선의 흙이고 숨이며 물이니까, 본래 나라를 지키는 사람은 미천하고 평범한 사람이니까"

읽는 내내 마음을 무겁게 누르는 것은 위정자들이었다. 그 때나 지금이나... 우리나라는 위기에서 나라를 구하는 것은 예나지금이나 평범한 사람이었나보다. 이휴...

안용복이 가졌던 기백에 대해 생각해본다.
우리 모두가 한국인으로서의 기백을 가지고 산다면 어쩌면 조금 더 자랑스러운 나라가 되지 않을까.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