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와 빨강
편혜영 지음 / 창비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제목을 접했을 땐 오르한 파묵을 연상했었다.
하지만 역시 전혀 다른 우리 글을 가장 잘 쓴 우리 소설이었다.
사람이 그처럼 철저히 고독해 질수 있을까?
서서히 고립되어가는 그를 보며 묘한 동질감을 느껴보는 것은 왜였을까?
c국으로 파견근무를 나가며, c국의 입국장에서 검역과정을 시작으로 소설의 문은 열린다.
본사로의 파견이 결정된 것은 오로지 그의 쥐를 잡는 과감한 솜씨때문이고, 그 솜씨는 c국에서의
또다른 삶의 복선이 된다.
구석구석 침울하고, 우울한 분위기가 어찌보면 미래공상과학 소설같기도 하다.
하지만 본질은 사람의 소외를 담는다.
변함없이 반복되어 온 일상이 갑자기 구토의 원인이 된 그 옛날의 어느 소설처럼 일상으로부터 소외된 그의 낯설음이 끝날 때까지 따라다닌다.
한 계단씩 떨어져 가면서 이 보다 나은 삶이 바로 앞의 삶이었슴을 깨닫는다.
결국 그는 그렇게 떨어져 가고 다시 지상으로 올라왔을 땐 소설이 끝나버린다.
지상에서의 또 다른 마지막 일상에서 그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다시 돌아가고 싶을까?
그냥 또 다른 일상에서 아무 의미없이 마주치는 삶의 가벼움을 쉬이 받아넘기기만 하자는 것일까?
우리 앞에 이토록 고독한 삶이, 이 처럼 가벼운 삶이 그래서 공중에 부양해 버릴 것 같은 그 삶이 펼쳐진다면
받아들이는 것말고 뭘 할수 있을까?
소설은 사건을 열어놓고는 닫지 않고 마무리된다.
닫아야 될 그 어떤 이유도 없기 때문이고, 닫을 필요도 느끼지 못할만큼
무의미하게 흘러왔기 때문이다.
그래도 어색하지 않다. 지루하지 않다.
가슴에 정말 알수 없는 동의가 꿈틀되기 때문인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