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화 가족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장성한 자식들은 각자의 가정을 출가를 하여 각자의 가정을 가진다.
만약 이러한 자식들의 한꺼번에 가정과 사회에서 실패하고, 다시 어머니의 집에 들어온다면, 그래서 가족평균연령 49세의 고령화 가족을 만든다면....
갑갑하다. 정말 갑갑하다.
이런 갑갑한 상황이라면 난 두 손을 모두 주머니에 넣고 가만히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갑갑한 현실에서도 소소한 사건들이 생겨 그들을 살아가게 한다.
그들의 어머니에게는 오히려 이런 상황을 자신의 존재감을 더욱 크게 느끼는 계기가 된다. 그래서 더욱 젊어진다.
중년의 자식들은 어머니에겐 또 다른 삶의 원동력인 것이다.
가장 절망해야 할 순간.
그 순간이 바로 다시 시작되는 순간인 것이다.
책을 덮고난 후 이 말을 가장 먼저 되뇌이게 된다.
천명관의 소설은 끊어 읽기가 안된다.
저녁을 먹고 편안히 누워서 책을 펼치면 새벽이 되어 책을 덮을 때까지 끊을 수가 없다.
개인적 취향이 강한 문체라서 아름답지 못할 수도 있지만, 그의 글은 '냉소'가 담겨있다.
사회를 향해 맘껏 비웃어 주는 그런 '비웃음'이 있다.
이야기는 너무 사소하지만, 왠지 조마조마하기도 하고, 감동을 받기도 하고, 웃기도 하면서
그가 이끄는대로 따라만 가게 된다.
그래서 끝나고 나면 마치 영화를 한편 본 것 같다는 착각이 든다.
다섯명의 고령화 가족이 절망의 최고점에서 만나 어떻게 끝이 날까?
희망으로 끝이 날깤? 아니면 더욱더 절망할까?
결론은 열려있다.
끝나는 상황을 보고 각자가 생각하면 그만이다.
'가족애'라는 것이 마냥 따뜻하지만은 않지만, 귀찮은 것일 수도 있지만
나는 이렇게 정의하고 싶다.
"아주 특이하게 귀찮은 사람들"
그들이 바로 가족이다. 그리고 그들과 함께 살며 사랑하고, 싸우고 하는 삶자체가 가족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