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교과서 4 : 직원편 - 직원을 변화시키는 사장의 교육과 장사 철학 장사 교과서 4
손재환 지음 / 라온북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회사에서 존재하는 직군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대표님과 직원이라 생각됩니다.



직원은 정해진 월급이 있기 때문에

그만큼만 하고 싶어하고

대표는 급여를 주고 있으니

더 많은 것을 바라고 있습니다.



누가 맞고 틀린걸까요?

정답은 없습니다.

각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게 되는 것이죠.



저도 직장생활을 하고 있으니

대표의 마음은 헤아리고 싶지 않았습니다.

제가 계속 직원의 자리에 있었다면

매달 받는 급여로 만족 했을 건데요.



개인사업을 생각하고 있으니

대표의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직원의 입장에서 일을 안했던 것은

아니였지만 어떤 의견을 냈을 때도

안된다라는 말을 좀 들어서

왜 안된다고만 하는걸까?

했거든요.



반대로 생각해보면 실현하는 것은

시간도 걸리고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개인의 일이 아닌 조직에서 만들어져야

하는 것들이기에

생각해볼 문제가 많은 것이지요.



본 책에서도 직원에 대한 얘기로

가득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직원을 채용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회사에 적합한 사람을

채용하기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앞과 뒤가 다른 사람은 아닌지

잘 안보는 것 같더라고요.

상사에게 밉보이지 않게 하는 행동들은

다른 사람들의 눈을 찌푸리게 하지요.



어떤 이유인지 아실 겁니다.

진짜 눈을 갖는 것이

참 중요 할 것 같습니다.




본 책에서 인상깊었던 부분은

직원들과 회사가 나아가는 길

회사의 철학과 목표등을

직원과 공유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나는 이런 철학을 가지고 회사를

운영하고 있어라고 혼자만 알고 있다면

직원들은 대표의 생각을

알지 못합니다.



함께 가고자 하는 길이 명확해져야

직원들도 열심히 발을 맞추어

가줄 수 있다는 겁니다.



어떤 소속감도 느끼지 못한다면

직원들은 이탈을 하게 되겠죠.

더 이상의 발전이 없다고 생각 할 것입니다.



대표가 혼자서는 할 수 없습니다.

일을 잘한다고 생각되는 직원에게

일을 위임이라는 것을

하게 될텐데 직원만 믿고 있어서는

안됩니다.



적절한 보고를 받을 필요가 있으며

어느정도의 간섭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결국 결정은 대표의 몫이기 때문이고

직원은 책임을 지지 않거든요.

회사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모두 보고를 통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본 책에서 예시를 들어 주는 부분이 있는데

책을 쓴 저자는 안경점을 운영하고 있고

교육을 하는 아카데미도 하는 것 같았습니다.



50대 이상은 되 보이는 부부가

교육을 듣게 되었습니다.

이 교육을 왜 듣느냐고 질문을 했고

부부는 함께 일하던 직원이

갑자기 그만 두었는데

함께 일하던 동료도 같이 그만 두었다고 해요.



메인으로 일하던 직원이 없으니

그 자리는 부부가 채워야 했습니다.

안경사 자격은 있었지만

실무에서는 멀리 있었던 상태라

시행착오를 계속 거치다가

교육을 듣게 되었다는 거죠.



이 부부는 위임을 하고 어떤 일을

했을 듯 싶나요?

다른 일을 한 것은 아니였고

부부가 골프를 치고 여행을 다니고

자유로운 생활을 했던 거예요.



안경점이 어떻게 되어가는 줄도 모르고..

대표는 운영하는 회사가

어떻게 되어가는지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직원은 직원이지요.

대표처럼 일한다면 직원이 창업을

했을 겁니다.



회사를 내 회사처럼은 없는 것 같습니다.

영원한 직장은 없는 것처럼

잠시 발을 두고 있는 것 뿐이죠.



아주 짧은 내용을 담았습니다.

다른 내용들이 많이 있으니

직원을 알고자 하는 예비 대표님과

실제로 직원에게만 일을 맡기는

대표님이 계시다면

꼭 봐야할 중요한 책이 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