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철 맞은 장날입니다 - 전국 오일장에 담긴 맛있는 사계절 김진영의 장날 시리즈
김진영 지음 / 상상출판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일장, 이렇게나 많고 다양했다니!


우리나라의 전통장인 오일장. 오일장은 닷새마다 서는 시장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오일장에는 특유의 분위기가 있고, 해당 지역에서만 나는 제철음식들을 아주 싱싱한 상태로 맞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오일장은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것이 아니고 특정 지역에서만 열리다 보니 오일장에 대해 잘 알고 관심을 가지는 사람은 그렇지 많지 않으로 예상된다. 나조차도 오일장에 대해서 들어보기만 했지, 실제로 오일장에 가서 뭔가를 사본 적은 없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에게 오일장의 매력을 톡톡히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오일장의 매력이라함은 당연하겠지만, 그 해의 싱싱한 제철 재료들을 바로 마주할 수 있다는 것이겠다. 전국의 오일장은 사계절마다 계절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준다는 생각이 들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할 것 없이 자연이 주는 재료들을 중간 업체를 거치지 않고 찾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오일장이다. 저자는 직접 발로 뛰면서 경험하고 본 오일장들을 하나씩 소개해준다. 저자의 보물보따리를 하나씩 읽어보는 것 같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직접 경험한 사람의 글이기 때문에 함께 여행을 다니면서 각지의 맛을 알아보는 느낌. 그래서 우리나라임에도 잘 몰랐던 지역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게 되었고, 관심도 생겼다. 사계절별로 소개하고 있으니, 가장 좋은 때에 방문할 수 있을 것 같다. 책에 담긴 활기찬 오일장의 사진들은 책의 활기를 더해주는 역할도 하였다.

나는 이 책의 매력적인 면 중 하나가 소제목의 느낌이다. 각 계절이 물씬 느껴지는 듯한 소제목이 무척이나 마음에 들었다. 봄 파트를 읽고 있자면 정말 봄내음이, 여름은 따사로운 여름의 햇볕이, 가을은 풍성한 작물이, 겨울은 혹독한 겨울을 이긴 식자재들이 저절로 떠올랐다. 전통장 혹은 전통 식자재에 관심이 있다면 책과 함께 오일장 투어를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아는 맛에 제철을 더하면 빛나는 맛이 된다

예전에는 제철 음식을 왜 먹어야 하나 잘 몰랐던 때가 있다. 아니 요즘은 비닐하우스에서도 다 키우고 사시사철 먹을 수 있는데 꼭 제철 과일을 먹어야 하나? 싶었는데, 그것이 얼마나 오만한 생각이었는지를 책을 읽으면서 알았다. 제철음식은 그 해의 그 계절의 그 해가 그 땅에서 가장 비옥하게 길러낸 것이다. 당연히 영양도 풍부할 뿐 아니라 맛도 훨씬 좋다. 그런 제철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오일장인 것이고. 

이 책에서는 각 지역의 제철음식들을 다양하게 소개한다. 개중에는 평소 잘 알고 있던 것도 있었지만, 몰랐던 제철 음식들과 식재료들이 훨씬 많아서 꽤나 많은 음식을 먹으면서 살아왔다고 생각했지만 그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무작정 지역의 유명한 맛집을 소개하는 것이 아닌 직접 먹어본 경험에서 우러난 후기는 우리에게 신뢰감을 주기에 충분했다. 지금 당장 갈 수 없어서 입맛만 다시기가 아쉬웠다.

또한 상점 정보를 직접 제시해주고 있어서 책을 읽어보고 먹어보고 싶어졌다면 쉽게 찾아갈 수 있을 것 같다. 이 지역을 내가 소개해서 꼭 잘 되게 해야지! 하는 마음이 느껴지는 게 아니라 여기 정말 숨은 맛집이에요, 제가 한 번 소개해드릴게요, 하는 느낌이라 더 가보고 싶어지는 걸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좀 더 우리의 음식에, 지역의 제철음식에 관심을 가진다면 지역 활성화가 좀 더 이루어지지 않을까? 이 책이 앞으로의 전통 시장, 제철음식이 다시금 부상할 수 있도록 하는 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같은 한 나라에서 사는데도 이렇게 다양한 것들을 모르고 살았다는 것, 앞으로 먹어볼 것이 이렇게 많다는 것은 새로운 설렘을 주기도 한다.

우리의 식탁에 다양한 계절이 올라갔으면 좋겠다.

우리나라는 뚜렷한 사계절이 있다. 봄,여름,가을,겨울, 지역마다 나는 것도 다르고 맛도 다르다. 이 책은 다른 것들을 이야기하고자 했다. 어디 가서 꼭 먹어야 할 음식에 계절을 더한다. 지역마다 맛으로 빛날 때가 있다. 장터와 계절을 같이 봐야 이 책은 더 맛있다. 한반도는 생각보다 넓고, 각 지역은 때에 따라 각자의 맛으로 빛난다. 그 빛을 따라가는 여정이 오일장이다.

p.9

스쳐 지나는 봄을 잠시 붙잡고는 "봄을 부쳤다", 계절 음식은 특별한 것이 아니다. 돈 만 원으로 즐긴 봄이었다.

p.58

필자가 로컬푸드 매장에 가는 이유는 맛있기 때문이다. 흔히 가성비를 자주 언급한다. 기대하는 것만큼 얻으면 가성비가 좋다고 한다. 그 이상이면 '갓성비'라고 한다. 로컬푸드 매장에 가면 가성비 대신 '갓성비'를 말한다. 특히 잎채소나 과채류를 맛보면 이해할 수 있다.

p.147

할매의 말 품새나 손님들의 대화에서 돈은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곳임을 느꼈다. 밥이 있고, 밥을 먹으러 오는 사람이 더 중요하다는 듯 느껴졌다. 도시에서 이런 밥은 기대하기 어렵다. 바쁘다는 핑계로 밥을 함부로 대하는 경우가 대부분. 여기는 밥이 먼저, 사람이 먼저였다. 인사만큼은 성심껏 하고 나왔다. "잘 먹었습니다."

<정리>

1. 오일장과 제철음식을 소개하는 도서

2. 전국 곳곳 직접 다니면 경험한 내용

3. 제철음식에 대한 관심도 상승 가능

<추천>

1. 다양한 음식에 관심이 많으신 분

2. 제철음식, 오일장에 흥미가 생기시는 분

*해당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무상 제공받았으며, 주관적으로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