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오웰, 시대의 작가로 산다는 것
스테판 말테르 지음, 용경식 옮김 / 제3의공간 / 2017년 6월
평점 :
절판


동물농장, 1984의 작가 조지 오웰. 지난해 이 작품들을 읽었을 때 경험이 떠오른다. 소름의 연속이었다. 소설 속의 이야기가 마치 실재할 것 같은 느낌이었다. 빅브라더가 우리를 감시하듯 누군가 우리를 감시하고 있을 수 있다. 누군가의 지배 속에서 동물들이 이를 인지 못하는 것처럼 우리 역시 인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는 걸 수 있다. 우리는 깨어 있어야 한다. 일상에 무뎌져 생각이 없는 채로 살아가면 안 된다. 당연한 것들에 대해 질문을 던질 수 있어야 한다. 권력에 무릎 꿇는 것이 아니라 당당히 의견을 낼 수 있어야 한다. 그의 책을 읽으며 내 머리에 스쳤던 생각들이다. 그의 책은 나에게 많은 깨달음을 주는 책으로 기억된다.
<조지 오웰, 시대의 작가로 사는 것>은 그의 글쓰기 인생을 다룬 책이다. 그가 글을 어떤 자세로, 어떤 생각을 갖고 썼는지 알 수 있다. 읽는 내내 흥미로웠고 그의 책이 더욱 궁금해졌다. 그의 글은 현실을 외면하지 않는 글이다. 즉, 현실을 반영한 글이며 그의 경험이 녹아있다. 그는 글을 쓰기 위해 경험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다. 또한 그 글로 인해 자신의 안위가 위협이 되더라도 그는 글을 쓴다. 그에게 글은 삶이며 그 자신이다.
그의 글을 보며 많은 반성과 생각을 했다. 과연 나는 어떤 글을 쓰고 있을까? 내가 쓰고 싶은 글은 어떤 글인가? 그와 비교했을 때 나의 글 솜씨는 아주 부족하다. 하지만 그처럼 생각이 담긴 글을 쓰고 싶다. 다른 사람의 생각이 아니라 나의 생각이 담긴 글. 보기에 번지르르한 글이 아니라 나의 진심이 담긴 글. 이 글을 보면 나를 떠올릴 수 있는 글. 현실은 외면하지 않는 글.
나는 세상을 알아가는 것을 좋아한다. 또 그 앎을 나누는 것 역시 좋아한다. 지식을 갖춘 교육자가 되고 싶다. 이 길을 걷는다면 나에게 글은 떼어낼 수 없는 존재가 될 것이다. 아마 현실에 타협하는 글을 쓰고자 하는 유혹이 나에게 닥칠 수 있다. 현실을 외면하는 글을 쓰라는 회유가 나에게 다가올 수 있다.

에릭 블레어로 하여금 시작하게 만든 것은 무엇보다도 양심의 가책이었다. 그는 마침내 제국주의를 단지 갱단에 불과한 것으로 간주하게 됐고, 그런 제국주의를 위해 일하고 있음을 자각한 것이다. 버마에서 마주쳤던 얼굴들, 즉 피고인석에 앉아 있는 수감자들, 사형수들의 방에서 죽음을 기다리는 사람들, 내가 거칠게 다뤘던 아랫사람들, 내가 모욕을 줬던 늙은 농부들 내가 화날 때 두들겨 팼던 하인들과 일꾼들의 얼굴들이 그의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그가 거기에서 맡았던 역할은 압박 시스템의 톱니바퀴 중 하나였다는 것을 그는 명료하게 자각한다.


나는 맹세한다. 거짓된 글, 외면된 글을 쓰지 않겠다고. 글 안에서만큼은 나에게 솔직해지겠다고. 앞으로 많은 글이 나로부터 탄생할 것이다. 그 글들이 많은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으면 좋겠다
그가 볼 때 러시아와 스탈린에 대해 비판을 주저하지 않는 것은 지적인 정직함의 문제였다. 당신이 몇 년 내내 소련 체제나 그 밖의 다른 어떤 체제에 대해 비굴한 아첨꾼으로 혹은 정치 선전꾼으로 행동하고 나서, 어느 날 갑자기 당신의 지적 정직성을 회복할 수 있으리라고는 생각하지 마시오.
한 번 창녀는 영원한 창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