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대국의 경제학
글렌 허버드 & 팀 케인 지음, 김태훈 옮김 / 민음사 / 2014년 7월
평점 :
절판
경제학이란 인간의 경제 활동에 기초를 둔 사회적 질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사회과학이라고 사전에 적혀있다. 그렇다면 경제의 뜻은 무엇일까?
경제란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한는 모든 활동이라고 정의한다.
강대국의 경제학 (BALANCE)는 강대국의 몰락을 내부에서 자초한 경제적 불균형이라고 말한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강대국 로마제국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적략가 아우구스투스는 41년 동안 로마를 통치함으로 역사상 유례없는 번영을 누린 팍스 로마나의 토대를 마련했지만 아우구스투스의 통치 1세기 후 로마는 성장을 멈췄다. 로마제국은 방대했지만 통제가 제한적이었고 규제의 불균형으로 인해 쇠퇴의 길로 들었섰다고 말한다.
중국의 환관 정화의 유명한 해외 원정이야기를 시작으로 명 제국 시대에 중국의 성장이 갑작스러운 종말을 맞았다고 이야기하지만 21세기의 중국은 비로서 성장의 토대를 갖췄으며 얼마나 더 성장할지는 누구도 알 수 없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세번째 이야기는 스페인의 지는 해를 이야기한다.
"스페인이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토대는 주로 신세계의 부를 발견했던 당시의 경제 상황에 있다." "재정 불균형 때문에 여러번 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결국 17세기 말에 주요 전쟁에서 대부분 패하면서 포르투갈과 네델란드를 잃었고 재정적 신뢰도 읽었다. 그 결과 세계 패권국에서 이류 국가로 빠르게 몰락했다" p160
그리고 저자는 "노예의 법칙: 오스만의 역설" "일본의 개방" "영국의 몰락" "유럽: 통일성과 다양성"을 "꿈꾸는 캘리포니아"를 이야기 하지만 아마도 결론은 미국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과거 강대국들의 쇠퇴 과정이 지닌 공통 패턴을 살핀 후 미국은 생존할 수 있었까? 질문하지만 미국의 엿사는 미국식 민주주의가 모든 회의와 냉소보다 강력하다는 점을 증명했다고 말하며 미국은 여전히 떠오르는 태양이다라고 끝을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