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파 - 2018년 제3회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
박해울 지음 / 허블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 개의 파랑'을 읽고 소설에도 실망하고 한국과학문학상에도 실망했었는데, 이 작품을 읽으니 수상작들이 다 그런 건 아니란 것을 알게 됐다.


일단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다루지 않는 스페이스 오페라라는 점에 흥미가 갔다. 우주에서 빵야! 빵야! 전쟁하는 이야기는 아니다. 부유층들만 탈 수 있는 우주 크루즈선의 이야기다. 그 안에서도 객실 등급이 나뉘어 있고(승객들의 계급화) 승무원들마저 신체가 온전한 승무원들과 사이보그화된 섀도 크루(그림자 승무원)으로 나뉜다(승무원들의 계급화). 여기에서 감이 오지 않는가? 이 소설이 다루고자 하는 주제가.


그리고 전 세계인들이 성인처럼 떠받드는 의사, 기파. 크루즈선에서 근무하는 의사이다. 그런데 기파에 대해서 세계인들이 갖는 이미지와 주인공이 갖는 이미지 사이에 간극이 있음을 암시하는 장면이 처음이 나온다. 그 뒤 그의 회상으로, 라이언일병 구하기처럼 기파 선생님 구하기가 시작된다. 그런데 주인공이 실제로 만난 기파 선생님은...?


하필 심사평을 먼저 읽어보는 바람에 반전을 눈치채 약간 김이 새긴 했지만(심사평이 스포일러다!), 그럼에도 뒷이야기가 궁금해서 빠르게 읽어나간 책이다. 몇 시간만에 다 읽어버렸다. (반면 '천 개의 파랑'은 다 읽는데 열흘이 걸림. 하도 재미가 없고 지루해서. 상 받았다기에, 또 내 돈 주고 산 책이기에 끝까지 읽긴 읽었으나, 책 읽는데 드는 시간까지 아까웠음. 그만큼 실망스러웠던 작품.)


이 작품은 서사가 물 흐르듯이 진행되고, 심리 묘사, 배경 묘사, 상황 묘사, 모두 군더더기가 없었다. 스릴러로서의 면모를 잘 갖추고 있었다. 묘사와 서사는 모자라지도 않았다. 이야기 속에 빠져들면서, 작가가 하려는 이야기를 모두 파악할 수 있었다. 이야기 내에서 그려지는 인간의 추악함이 결코 작위적이거나 엉뚱하지 않았다. 다 읽고 보니, 영화 <타이타닉>의 SF판 같기도 하다.


국내 SF도 이만하면 읽을 만 하다는 생각이 드는, 재미있고, 그러면서도 생각할 거리를 무겁게 던져주는 작품이었다. 강추!




자, 여기에서부터 스포일러가 들어갑니다. ('천 개의 파랑'과 '기파' 두 작품 모두의 스포일러입니다. 주의 부탁.)




'천 개의 파랑'과 '기파' 두 책을 읽어본 사람이라면 소재도 결말도 비슷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인간 혹은 동물을 위해 스스로를 희생한 안드로이드.

하지만 '천 개의 파랑'에서는 그 희생이 인위적인 느낌이었다. 표면상의 주인공은 안드로이드지만 실제 주인공은 세 모녀다. 안드로이드는 세 모녀의 삶을 조명해주는 도구일 뿐 진짜 주인공은 아니다. (안드로이드의 시점으로 진행되는 이야기가 사람하고 별 차이가 없으면서도 뭔가 차별적인것처럼 보이려고 애쓴 것 같아 되게 재미없음) 마지막엔 굳이 자신을 희생했어야 했나? 그런 의문까지 들었다. 왜냐면 안드로이드가 그 부분에서 자기 희생을 하지 않았어도 작가가 하려는 이야기는 이미 다 전달이 됐기 때문이다. 결국 소설에 감동적인 결말을 선사하기 위한 작가의 작전으로만 보였다. 안드로이드는 이야기 내내 이용만 당하고 심지어 독자한테도 이용당한 것이다. 이 장면을 읽고 감동적이라는 사람은 무의식 중에 안드로이드를 인간보다 하등한 존재로 느끼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반면 이 작품에서는 스릴러의 형식을 취해 마지막에 가서야 그가 안드로이드인 것을 알게 된다. 이런 주제의 작품을 다루려면 이런 형식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본다. 소설 초반부터 안드로이드가 고뇌하고 인간도 고뇌하고 그런 내용은 지지부진해서 재미가 없다.(대표적인게 '천 개의 파랑'. 이것 말고도 비슷한 아류작이 엄청 많다. 브릿G 같은 플랫폼에 가 보면 비슷비슷한 스토리 라인과 감정선의 작품이 너무 많아 식상하다)


또한 그 안드로이드가 본인을 희생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그것은 안드로이드이기 이전에 그가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의사였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자기희생의 개연성과 숭고함이 발생한다. 그래, 그럴 수밖에 없었겠구나, 너도 살고 싶었지만 다른 이를 살리려고 너를 버렸구나, 이런 감동이 밀려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