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소재나 주제는 생각할 만한 거리를 던져주긴 했다. 작가가 생명공학 전공자이다 보니 전문적인 내용으로 현실감 있는 SF를 썼다는 것에 점수를 주고 싶다. 다만 이 작가의 장편에서 보이는 캐릭터의 비매력은 여전하다. 초중반이 지루한 것도 그렇고. 특히 이 작품에서는 주인공이 누구인지 모르겠다. 지수인지 나오미인지 아영인지. 세 사람의 이야기가 번갈아가며 나오다 보니 시점이 바뀔 때 몰입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그 중 아영의 시점에서 전개되는 부분이 가장 지루하고 재미 없었다. 왜 그런가 생각해 보니 나오미와 지수에게는 위기와 절망 간절함이 있었지만 아영에게는 그런 것이 없었다. 그저 이 사건의 관찰자였던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관찰자로 보기에는 또 할애된 분량이 너무 많고. 그래서 지루하게 느껴진 것 같다. 아영이 단순한 관찰자가 아닌, 모스바나 때문에 뭔가 엄청난 위기를 겪고 그래서 사건을 해결하고자 하고 그런 게 있었다면 덜 지루할 것 같다. 아니면 아영을 여전히 관찰자로 두려면 아영이 나오는 파트를 간결하게 썼다면 어땠을까? 단순히 어린 시절에 잠깐 친하게 지냈던 할머니가 보고 싶어서 사건에 매달리는 건 설득력이 떨어진다. 그 외에도 고개를 갸웃하게 되는 것은 지수와 레이첼 간의 감정선이다. 그 둘은 왜 상대에게 그렇게 행동해야 했는가? 그걸 잘 모르겠다. 그냥 갈등을 고조시키기 위해 작가가 집어넣은 설정 같다. 그 둘의 감정선이 작품 분위기와 잘 안 맞고 튄다. 소설의 설정과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뭔가 오류 같은 게 있는데 아영이 지수의 유품을 받아가는 장면이다. 지수에게는 분명 가족이 있다. 장례식까지 치러준. 근데 그 유품은 왜 그들에게 사전에 전달되지 않았는가? 이것 또한 아영이 지수의 이야기를 알게 만들려는 장치로만 보여 고개가 갸웃거려진다. 소설의 주제는 좋았다. 작품 말미에 나오는, 인간중심적인 생각이 얼마나 우스운 것인지, 식물들의 생명력과 위대함, 그런 주제는 좋았다. 그걸 표현하기 위한, 모스바나라는 소재도 좋았다고 생각된다. 다만 캐릭터의 매력, 캐릭터 간의 감정선, 그런 것은 작가가 좀 더 고민해야 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마이클 티어노 지음, 김윤철 옮김 / 아우라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학의 내용을 스토리텔링 측면에서 이해하기 쉽게 체계적으로 사례를 풍부히 들어 잘 설명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양들의 침묵 (리커버 에디션)
토머스 해리스 지음, 공보경 옮김 / 나무의철학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플롯, 소재, 캐릭터 모두 훌륭하다. 서스펜스도 좋고. 스탈링, 렉터, 버팔로 필 3각 구도로 가는 것도 좋다. 서스펜스를 증가시킨다. 2자 구도로 갔으면 심심했을 듯. 조금씩 증거를 쌓아가며 마지막에 그것에 한데모여 범인을 잡는 장면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0일의 밤
블레이크 크라우치 지음, 이은주 옮김 / 푸른숲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중세계가 분기되는 상황을 섬세하고 세련되게 다루고 있다. 이건 도플갱어나 복제인간이 아니라 다중세계라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그 점이 이 소설의 중심 생각이다. 즉 현재의 내 모습이 절대적인 게 아니라는 거다. 플롯, 소재, 캐릭터 모든 면에서 훌륭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회용 아내
세라 게일리 지음, 안은주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극적인 광고 문구에 비하면 내용은 비교적(?) 잔잔하게 진행된다. 서스펜스가 없지는 않으나 그보다는 주인공과 복제인간이 서로를 이해하고 교감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주인공과 복제인간과 남편의 캐릭터가 설득력 있다. 주인공의 심리묘사는 아주 섬세하게 그려지고 있는데 그게 좀 따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