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픽사 인사이드 아웃 2 아트북 : THE ART OF 인사이드 아웃 2
피트 닥터.켈시 만 지음, 김민정 옮김 / 아르누보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즈니 픽사 인사이드 아웃 2 아트북』은 미술 전시회에 상품점에 가면 볼 수 있는 양장 도록처럼 생겼다.


이 책은 디즈니 픽사 장편 영화 『인사이드 아웃 2』의 캐릭터를 어떻게 디자인했는지, 처음의 콘셉트는 어땠는지, 스토리보드와 영화 제작 과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마지막에는 편집되어 영화에는 담을 수 없었지만, 더 나은 스토리를 위해 이런저런 장면과 생각들도 했었다는 것을 담은 부분이 있다.


'스토리보드를 이렇게 짜는구나!', '완성본이 나오기 전 새로 만들어진 감정들은 이렇게 하려고도 했었구나!'라는 것을 알 수 있어 영화와 소설을 본 나로서는 이 애니메이션을 훨씬 더 깊게 이해할 수 있었다.


"스스로를 사랑하기 위해 완벽해질 필요는 없어!"


이것이 애니메이션의 주제다.


애니메이션 속에서는 누가 주인공이라고 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감정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감정들이 모여 하는 일은 '라일리'를 성장시키는 것이다. 다양한 감정 속의 '라일리'는 자신이 완벽하다고 느낄만한 순간이 없다. 버럭이가 갑자기 화를 내기도 하고, 슬픔이가 작동하면 갑자기 우울해지기도 하고, 기쁨이, 까칠이, 소심이 등이 활동 버튼을 누르면 감정이 복잡해진다. 라일리의 행동과 얼굴 표정 등을 감정들의 활동과 어떻게 연결시킬까를 고민하는 부분이 나와있다. 우리가 보는 시간은 단 1초? 어쩌면 그것보다 짧은 시간을 위해 이런 고민들을 하는구나!라는 걸 볼 수 있다.


그리고 새로 등장하는 캐릭터들에 대한 고민의 장도 재미있다.

불안, 당황, 따분, 부럽의 캐릭터들이 처음부터 그렇게 그려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일 눈에 들어왔던 것은 영화에는 없는 장면이었다.


영화에 없는 장면 중에는 정말 기발한 생각들이 많았다. 뇌 방귀 호가 등장했어도 재미있었을 것 같고, 깨달음 만 & 나쁜 생각 시장, 사춘기 파크 등이 나왔으면 어떤 장면이 연출됐을까? 그림 몇 장만으로도 재미있는 장면이 될 수 있었을 거 같다.


사춘기 파크에서 '부모의 당황 공포의 집'이라는 것을 봤을 때, 한 번 들어가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 놀이동산에 가면 '공포의 집'이 있는데, 일반적인 부모들이 좋아하는 곳은 아니다. 하지만, '부모의 당황 공포의 집'이라면, 궁금해서 한 번은 시도해 볼 수 있지 않을까? 부모를 위한 테마도 필요하지 않을까? 도대체 이런 상상은 어떻게 가능한 거지? 단 한 컷으로 이렇게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게 하다니….


미술관에 가서도 그림만 보는 것과, 그림을 보며 도슨트의 설명을 듣는 것, 그림을 보며 도슨트의 설명을 들은 후 도록을 사서 집에 와서 읽을 때 받아들이는 게 달라지는 것처럼 『디즈니 픽사 인사이드 아웃 2 아트북』을 읽고 나니 캐릭터 하나하나에 좀 더 공감할 수 있었다.


『인사이드 아웃 2』 영화를 재미있게 봤다면, 그 여운을 좀 더 즐기고 싶다면 『디즈니 픽사 인사이드 아웃 2 아트북』을 읽어 보는 것을 추천한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