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초판본 리커버 고급 벨벳 양장본) 코너스톤 초판본 리커버
알베르 카뮈 지음, 이주영 옮김, 변광배 감수 / 코너스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베르 카뮈는 1942년에 『이방인』을 발표하면서 이름을 알렸다. 같은 해에 에세이 『시지프 신화』를 발표하여 철학적 작가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1957년 마흔넷의 나이로 노벨 문학상을 받으며 대문호의 반열에 올랐지만, 1960년 친구가 운전하는 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오던 중 빙판길에 차가 미끄러지며 생을 마감하게 된다.​

오늘 엄마가 죽었다. 어쩌면 어제일지도. 모르겠다. 양로원에서 전보 한 통을 받았다. '모친 사망, 내일 장례식.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이것만으로는 알 수가 없다. 어쩌면 어제였나 보다. p.8


이렇게 시작하는 『이방인』은 첫 문장부터 사람을 끌어들인다.

엄마가 왜 죽었을까? 어떤 사이길래 엄마가 오늘 죽었는지? 어제 죽었는지? 그것도 자세히 모를까? 주인공은 어떤 사람일까?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의문이 든다.

주인공 뫼르소는 어머니의 장례를 치르고 난 후, 해수욕을 즐긴다. 거기서 예전에 알고 지내던 여인과 만나 사랑을 나누게 된다. 같은 건물에 살던 레몽과 친구가 되고,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 ​

온몸은 긴장했고, 나는 손으로 권총을 꽉 쥐었다. 방아쇠가 당겨졌다. 권총 손잡이의 매끈한 배가 만져졌다. 날카롭고 귀를 얼얼하게 하는 소리 속에서 모든 것이 시작되었다. 나는 땀과 태양을 흔들어 털어버렸다. p.76


뫼르소는 살인을 저질렀다.

태양 때문에….

태양 때문에 살인을 저지르다니…. 내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하지만, 책을 읽다 보면 뫼르소라면 충분히 그럴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뫼르소는 엄마 장례식 때도 그랬고, 좋아하는 여자가 '나랑 결혼할래?' 하고 물었을 때도 그의 대답은 평범하지 않았다.

살인을 저지른 뫼르소는 감방에 가고, 재판을 받는다.

재판을 받는 과정은 2부에 나오는데, 예심판사나 검사들은 뫼르소의 '살인'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뫼르소라는 인간 자체를 심판하려고 한다.

엄마의 장례식장에서 울거나 슬퍼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엄마의 장례식이 끝나고 여인을 만나 즐거운 희극 영화를 봤다는 이유로….

여인과 만나 해수욕을 하고, 집에 갔다는 이유로….

판사와 검사는 뫼르소가 살인을 계획했으며, 살인을 저지르도록 예정된 자로 규정하고 단죄하려 한다.

뫼르소가 저지른 잘못에 대한 재판이 아닌 그 자체를 재판한다.​

감옥 생활 초기에 가장 힘들었던 점은 내가 자유로운 신분이었을 때처럼 생각한다는 것이었다. 발바닥 아래로 밀려드는 첫 파도의 소리, 몸이 물속으로 들어갈 때의 느낌, 물속에서 느끼는 해방감을 상상하다 보면 이 감옥의 벽들이 얼마나 나를 옥죄고 있는지 실감이 되었다. 하지만 이런 기분도 몇 달간이었다. p.93

출처 입력

감옥 생활을 하며 뫼르소는 느꼈다.

자유로운 신분이었을 때처럼 생각하기 때문에 지금의 현실이 힘들게 느껴진다는 것을….

그는 적응했고, 어느 순간 자신을 누군가가 마른 나무의 기둥 속에 넣어놓고는 머리 위에서 꽃처럼 피어나는 하늘만 보면서 살게 한다 해도 조금씩 그 상황에 익숙해질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인간은 참 적응을 잘하는 무서운 동물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심지어 부조리, 불평등조차 적응을 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방인』을 읽으며, 나도 혹시 부조리와 불평등에 굴복하고 적응하며 살아가는 게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죄수들이 가장 불만스러워하는 것도 여자 문제라고 했다. 나는 그에게 나도 다른 죄수들과 마찬가지이며 그런 대우는 부당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바로 그러려고 댁들을 감옥에 가두는 겁니다." 그가 말했다.

"그러려고라뇨?"

그래요. 자유란 그런 것입니다. 댁들에게 그 자유를 빼앗는 거죠.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는 부분이었다. 나는 그의 말에 동의했다. p.95


뫼르소는 재판에서 사형을 구형 받는다.

감옥에서 지내는 동안 뫼르소는 자신의 죽음이 가진 부조리성을 깨닫는다.

하지만, 뫼르소는 항소를 하지 않는다.

그의 사형이 집행되는 날, 많은 사람이 그를 '증오의 함성'으로 맞아주기를 바라며 죽음을 맞이한다.

책을 읽는 내내 머릿속에서 물음표가 끊임없이 그려졌다.

"왜? 그랬을까?"

이 책의 마지막에는 전 한국외대 변광배 교수의 작품 해설이 담겨있다.

작품 해설은 다각도에서 분석을 해놓아 그동안 궁금했던 것을 어느 정도는 해소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