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세스트는 이성과 정당성, 공정을 외치며 마음에 없는 소리는 단 한 마디도 하지 않는다. 알세스트의 대사를 읽으면 어떤 면에서 불편한 마음이 슬그머니 올라온다. 요즘 말하는 사이다 같은 표현을 쓰지만, 다른 사람을 무시하는 듯한 교만함이 느껴진다.
셀러멘은 자신에게 구애를 하는 남자에게 친절하지만, 그 누구에게도 사랑에 대한 확신을 주지 않는 알세스트가 가장 싫어하는 인물상이다. 셀러멘은 자기 앞에 없는 사람에 대해선 거침없이 험담을 한다. 여기에 나오는 모든 사람에 대해 험담을 너무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그녀의 캐릭터가 참 놀랍다.
알세스트는 그런 셀러멘을 사랑한다. 참 아이러니하다. 가장 싫어하는 인물상을 사랑하는 자신에게 사랑은 그럴 수 있다는 모순된 잣대를 들이댄다.
알세스트의 친구 필랭트는 상황에 따라 하얀 거짓말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둥글게 살려고 하는 입장이다. 필랭트는 지금 태어났어도 사회생활을 참 잘 해나갈 거라는 생각을 했다.
『인간혐오자』는 대사에서 인물의 성격을 굉장히 세심하게 묘사했다.
이 희곡을 극장에 올렸을 때 장소의 변화는 거의 없이 인물의 대사만으로도 재미있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17세기 프랑스 사회는 귀족 계급의 사교계가 '살롱'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던 시기다. '살롱'에 모인 귀족이 모두 같은 마음일 수는 없다. 이 책에 등장하는 사교계에 모인 사람은 없는 다른 사람을 헐뜯으며, 공감을 한다. 몰리에르는 사교계 모임에 오는 귀족들을 풍자하기 위해 이 작품을 쓴 것이 아닐까? 참 재미있게 읽은 희곡이다.
읽으며 나는 어떤 종류의 사람일까?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는 작품이다. 이 책으로 독서 토론을 한다면 참 재미있는 토론이 이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