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 쉽게 풀어쓴 현대어판 : 인간혐오자 미래와사람 시카고플랜 시리즈 5
몰리에르 지음, 김혜영 옮김 / 미래와사람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세기에 활동했던 장 라신, 피에르 코르네유, 몰리에르 이 세 명은 프랑스 3대 고전 극작가다. 그중 몰리에르는 프랑스어를 '몰리에르의 언어'라고 표현할 만큼 프랑스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극작가이며, 그는 프랑스 고전 희곡의 완성자라 불린다.

당시 희극은 오락거리로 취급되던 하위 장르였지만, 몰리에르는 웃음을 유도하면서도 다양한 형식과 내용을 만들어냄으로써 희극의 위치를 끌어올렸다. 그는 대중의 사랑을 받았지만, 파격과 논란을 몰고 다니는 문제적 작가로 찍히기도 했었다. 『인간혐오자』는 인간의 본성을 가장 잘 들여다볼 수 있는 희극이라 느껴진다.

1966년에 초연 된 『인간혐오자』는 인간 본성에 대해 지나친 불신과 혐오를 가지고 있는 인간은 절대로 선한 존재가 될 수 없다는 생각을 가진 알세스트가 주인공이다.

알세스트 내가 바라는 거? 나는 이성과 정당성 그리고 공정을 원한다니까! p.20

알세스트 생각하는 걸 숨기지 못하는 사람은 궁정에서 견딜 재간이 없어요. p.90

알세스트 사람들 사이에서는 어쩔 수 없이 진짜 늑대로 살아야 하거든. p.120

셀러멘 도움이 되지 않을 수는 있어도 굳이 불이익을 받을 필요는 없잖아요. 도움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받을 수 있지만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들과 사이가 틀어지면 문제가 생겨요. p.47

필랭트 모두가 정직으로 무장되어 있다면, 모두가 정직하고 정의롭고 온순하다면 대부분의 미덕은 쓸데없겠지. 왜냐하면 미덕이라는 건 타인의 불의가 우리의 권리를 파고들 때 우리가 꼿꼿하게 감내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거거든. p.122

알세스트는 이성과 정당성, 공정을 외치며 마음에 없는 소리는 단 한 마디도 하지 않는다. 알세스트의 대사를 읽으면 어떤 면에서 불편한 마음이 슬그머니 올라온다. 요즘 말하는 사이다 같은 표현을 쓰지만, 다른 사람을 무시하는 듯한 교만함이 느껴진다.

셀러멘은 자신에게 구애를 하는 남자에게 친절하지만, 그 누구에게도 사랑에 대한 확신을 주지 않는 알세스트가 가장 싫어하는 인물상이다. 셀러멘은 자기 앞에 없는 사람에 대해선 거침없이 험담을 한다. 여기에 나오는 모든 사람에 대해 험담을 너무 아무렇지도 않게 하는 그녀의 캐릭터가 참 놀랍다.

알세스트는 그런 셀러멘을 사랑한다. 참 아이러니하다. 가장 싫어하는 인물상을 사랑하는 자신에게 사랑은 그럴 수 있다는 모순된 잣대를 들이댄다.

알세스트의 친구 필랭트는 상황에 따라 하얀 거짓말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둥글게 살려고 하는 입장이다. 필랭트는 지금 태어났어도 사회생활을 참 잘 해나갈 거라는 생각을 했다.

『인간혐오자』는 대사에서 인물의 성격을 굉장히 세심하게 묘사했다.

이 희곡을 극장에 올렸을 때 장소의 변화는 거의 없이 인물의 대사만으로도 재미있고,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 될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17세기 프랑스 사회는 귀족 계급의 사교계가 '살롱'을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던 시기다. '살롱'에 모인 귀족이 모두 같은 마음일 수는 없다. 이 책에 등장하는 사교계에 모인 사람은 없는 다른 사람을 헐뜯으며, 공감을 한다. 몰리에르는 사교계 모임에 오는 귀족들을 풍자하기 위해 이 작품을 쓴 것이 아닐까? 참 재미있게 읽은 희곡이다.

읽으며 나는 어떤 종류의 사람일까?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는 작품이다. 이 책으로 독서 토론을 한다면 참 재미있는 토론이 이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