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냥과 버섯구름 - 우리가 몰랐던 일상의 세계사
오애리.구정은 지음 / 학고재 / 2022년 8월
평점 :
이 책의 공동 저자 오애리와 구정은은 신문기자로 오래 일했다. 그러다 보니 관심 분야가 생겼고, 그것을 글로 써서 알리고 싶어 이 책을 냈다고 한다.
책은 미처 몰랐던 물건들의 이야기, 그곳에선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알고 보면 더 흥미진진한 세계 이렇게 3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여성은 존재 이래 계속 생리를 했다. 아마도 현대식 일회용 생리대가 나오기 전에는 모든 여성이 그 뒤처리를 놓고 고민했을 것이다. p.56
월드비전에 따르면 당시 위생용품이 없어 학교에 결석하는 여학생이 세계에 6억 명이나 됐다. 아프리카 열 명 중 한 명이 생리대 문제로 학교를 그만둔다는 통계도 있었다. p.60
2019년 영국에서는 생리대가 없어서 월경 때 학교에 가지 않는 여학생 문제가 제기됐다. 일간지 『인디펜던트』의 보도에 따르면 생리대를 살 돈이 없어 결석한 학생이 연간 14만 명에 이르렀다. '생리 빈곤'이라는 말이 생겨났고, 결국 정부가 나서서 모든 학교에 생리대를 무상 비치하기로 결정했다. p.62
2016년 한국에서도 '깔창 생리대'가 알려지면서 충격을 던졌다. p.63
6. 여성의 몸에 자유를 더해준 생리대
마트에 가면 꼭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생리대. 그것을 사면서 한 번도 고민해 보지 않았다. 생리하는 것이 귀찮았을 뿐이지 생리대가 없어서 야외활동을 하지 못한다는 생각은 단 한 번도 해본 적이 없다. 일회용 생리대가 없을 땐 어떻게 했을까? 이것조차 생각해 본 적이 없다.
1장에서는 이렇게 우리가 미처 모르고 살았던 이야기에 대해 사실을 근거로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뭘 어떻게 하자는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닌 이런 사실이 있다는 걸 알리기 위해 썼다는 게 느껴진다.
커피로 인한 환경 문제를 걱정하는 이들도 있다. 시원한 '아아' 한 잔을 담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 때문만은 아니다.
가장 큰 걱정거리는 물이다.
커피나무는 원래 그늘진 숲에서 자라지만 산업이 커지면서 그늘 없이 땡볕에 재배하는 곳이 많아졌다. 그늘 재배에 비해 수확량이 많게는 다섯 배까지 늘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커피와 함께 살던 미생물이나 곤충, 풀 따위가 없어져서 생물종 다양성이 크게 줄어든다.
또 커피 재배에는 물이 어마어마하게 들어간다. 커피 한 잔을 마시기까지 들어가는 물이 무려 140리터에 이른다는 조사가 있다. p.215
20. 한 잔에 140리터, '물먹는 커피'
충격적인 다른 이야기도 책에 많았지만, 한 잔에 140리터 '물먹는 커피' 부분이 내겐 가장 와닿는 부분이었다. 오렌지 1kg을 생산하는 데는 물이 485리터, 소고기 1kg에는 15,000리터, 청바지 1벌을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물이 11,000리터인데 비해 커피 1kg을 생산하는데 들어가는 물이 26,400리터가 들어간다.
이걸 어떻게 계산했을까?
이것은 유럽투자은행의 '물 보고서'에 있는 내용으로 아프리카와 남미, 아시아에서 커피 1kg 이 생산돼 다른 나라로 유통되고 소비자의 목으로 넘어가기까지 물의 양을 계산한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하루에 먹어야 하는 물의 양을 2리터로 봤을 때 13200일, 혼자 하루에 2리터씩 물을 마신다고 봤을 때 18년을 먹을 양이다.
내가 1년에 소비하는 커피 양을 어림잡아 계산해도 5kg, 그럼 나는 1년 동안 커피 마시는 데만, 내가 80년 동안 마셔야 할 물을 마시고 있는 것이다. 커피 먹은 지 20년이 넘었으니 커피 마시는 데만 1600년 동안 매일 2리터씩 먹어야 하는 물을 마신 것이다. 이렇게 계산해 보니 어마어마한 양이다. 지구에 물이 부족하지 않을 수 없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이다.
우리가 몰랐던 일상의 세계사 『성냥과 버섯구름』에는 일상에서 접해보기 힘든 내용이 많다. 너무 큰 이야기라 체감하기 힘든 국제 뉴스!, 그 거리를 단박에 뛰어넘어 세상과 나를 이어주는 이 순간의 세계사라고 쓴 작가의 말처럼 감히 결론을 내릴 수 없는 소재의 연속이었고, 나와는 관계없게 느껴졌던 일을 생활 속 사건, 내 주변의 일들로 끌어들임으로써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 준 책이다.
소재 하나하나 독서 토론 주제로 삼기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