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 진경산수화를 완성한 화가 어린이미술관 7
박은순 지음 / 나무숲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겸재, 아주 겸손한 선비라는 뜻의 화가 정선의 호이다. 높은 관직에 이르지도, 많은 재산을 가진 선비는 아니었지만 욕심없이 그림만 그린 화가이다. 그림을 팔아 생계를 이어가는 직업화가가 아닌 그림을 취미 삼아 즐겨 그린 선비화가이다.

정선이 그린 그림 속 자화상엔 서책이 빼곡히 쌓인 방안과 그 곳에서 책을 보거나 꽃과 난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려서부터 그림에 남다른 재주를 가진 정선은 항상 그림을 즐겨 그렸다. 연습도 게을리 하지 않아 하루도 빠지지 않았다고 한다. 정선이 쓰다 버린 붓을 모으면 커다란 무덤을 이룰 정도였다고 하니 위대한 화가는 타고난다는 말이 무색할 정도이다.

 

친구인 이병연이 강원도 김화에 현감으로 가게 되어 정선은 금강산을 즐겨 그릴 기회를 갖게 된다. 금강산의 절경을 제일 많이 그린 화가가 정선일 것이다. 생동감있고 세밀하게 그려 지도로 활용해도 될 만큼 정확하다고 한다. 상상 속의 그림이 아닌 보여지는대로 그리는 진경산수화의 진목을 그대로 표현한 그림들이 만들어진다.

아름다운 금강산을 직접 누비며 타고난 그림 솜씨를 마음껏 표현한 정선의 여유로움이 부럽기만 하다.

 

요즘 옛그림을 다룬 책들을 보며 지식없이 흘려보았던 그림들이 새로운 재미와 감동으로 다가온다. 정선이 남긴 위대한 그림들을 보며 아름다운 우리 산과 물에 자부심을 갖게 되고 정선의 일생을 엿보았다.

아이들에게는 더없이 중요하고 고마운 책이 되겠다. 자주 들춰보며 그림을 접하다보면 가보지 못한 금강산의 절경을 정선만큼 느끼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0대를 위한 바람의 화원 1 10대를 위한 바람의 화원 1
배유안 지음, 이정명 원작 / 밀리언하우스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초등4학년의 감상문

나는 처음에 이 책을 보고 바람의 화원? 화원은 대체 뭐지? 바람의 나라라고 해야 하는데 잘못 쓴 것이 아닌가? 라고 생각 했었다.  하지만  책을 한 장, 한 장 넘기면서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자세히 알고 있는  조선시대의 유일한 화가 김홍도, 김정호 뿐만아니라 그 신! 윤! 복! 이란 아주 유명한? 화가도 알게 되었다. 여기서는 여자를 많이 그려서 나중에 여자로 밝혀지지만, 실제로는 추측할 뿐이지 남자인지 여자인지 확실하게 알 수 없다고 한다.

특히 쌍검대무 와 무녀신무 가 왼지 다른 그림보다 특별한 느낌을 주었다. 쌍검대무는 자신의 스승 김홍도 와 대결을 할 때 그린 그림이라서 그런가 보다^^ 그리고 무녀신무는 무슨 이유는 없고 그냥 좋은 것 같다. 
특히 1권보다 2권이 훨씬 재미있었다.
거의 모든 사람이 그럴 것이다. 1권에서는 이상한 수수께끼로 가슴을 두근 거리게 만들고, 2권에는 속 시원하게 쫙 풀어버린다. 1권이 더 재밌다. 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김홍도 신윤복 은 정말 환상의 파트너 인 것 같다.혹시나 된다면 바람의 화원 3 도 출간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고기는 왜 항상 눈을 뜨고 있나요? - 우리 물고기에 대한 궁금증 47가지 왜 그런지 정말 궁금해요 38
최윤 지음 / 다섯수레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보고 있자니 어린 시절 개울가에서 많이 잡곤 했던 민물고기가 생각이 났다. 이름은 몰라도 그저 여름 장마철에는 사람이 다니는 길에까지 기어올라있을 정도로 많았었다. 요즘은 시골 개울에 가서 족대로 떠 보아도 붕어니, 물방개, 미꾸라지를 찾기 쉽지 않다. 내륙이라 바다 물고기는 잘 몰라도 민물고기류는 많이 잡고 가지고 놀았던 기억이 많은데 환경오염으로 민물고기가 많이 사라져버린 것이 안타깝기만 하다. 게다가 기형물고기가 많이 생겨나 오염의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물고기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책으로 원색적인 사진과 그림으로 아이들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물고기에 대한 궁금증 47가지를 질문하고 그에 대한 답을 자세한 설명과 함께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다. 제목이 물고기는 왜 항상 눈을 뜨고 있나요?이다. 눈이 하는 일을 옆줄이 대신해 주기 때문에 눈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눈꺼풀이 쓸모없게 되어 굳어져 항상 눈을 뜨고 있게 되었다고 한다.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물고기가 도둑을 지켜준다고 믿어 자물쇠를 물고기모양으로 만들기도 했다니 재미도 있고 슬기로운 발상이라 여겨진다.
 
동.식물 사진만 보면 그림으로 먼저 그려보는 작은 아이와 함께 독후활동을 해보았다. 그리고 싶은 물고기 그림을 그린다음 색칠하고 오려서 바닷속을 꾸며보았다. 민물고기도 몇마리 바다속으로 옮겨버렸다. 흰동가리돔은 니모라고 적는다.
많은 물고기를 알아보고 아울러 환경의 중요성도 느끼게 된 시간이었다. 글을 읽기 시작하는 저학년부터 부담없이 들춰볼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랑이 처녀의 사랑 옛이야기 그림책 7
강숙인 글, 김종민 그림 / 사계절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먼저 읽은 아이가 첫장을 펼쳐 읽고 있는 내 옆에서 아는 체를 한다. 나무 앞에 서 있는 처녀가 호랑이라고. 눈을 보라며 호랑이 눈이라고 한다. 글은 나중에 읽기로 하고 그림을 먼저 살펴보았다. 호랑이의 눈과 사람으로 변한 처녀와 엄마의 눈은 김현과 다르게 크고 치켜세워진 눈이 세 호랑이의 눈과 꼭 닮았다. 글을 읽지 못하는 아이들이 보아도 내용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만큼 이 책의 삽화는 생생하다. 파스텔톤의 아름다운 색채 또한 책의 재미를 더해주고 있다.

 첫장에서 김현이 무예 연습하는 장면은 귀엽고 앙증맞기까지 하다. 세 마리의 호랑이 또한 우리 민화에서 볼 수 있었던 호랑이의 그림처럼 익살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호랑이는 우리 조상들의 삶 속에서 자주 등장하게 된다. 전해져 오는 많은 이야기속에서도 호랑이는 우리와 친숙한 존재로 여겨졌다. 영물로 여겨 사람으로 변하기도 하고 사람에게 속아넘어가는 어리석은 호랑이로도 표현되고 있다.

지금은 동물원에서나 볼 수 있는 호랑이지만 호랑이이야기로 아이들은 많은 재미를 읽을 수 있다. 그야말고 호랑이 담배 피던 신라시대, 이 번에는 사람이 되고 싶은 호랑이다. 아리따운 처녀로 변하여 김현과 행복한 삶을 이루지 못하고 안타깝게 죽고만다. 그 호랑이를 잊지 못해 절이 세워진다.

호원사라고 한다. 아직 경주에는 이 절 터가 남아있다고 한다. 제대로 보존이 되지 않아 개인 사유지로 넘어가 있다고 한다.

우리 민족의 정서가 따스하게 느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책 읽는 도깨비 책귀신 1
이상배 글, 백명식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큰 아이가 책을 받자 마자 좋아라 한다. 신문 광고란에서 본 책읽는 도깨비를 보고 찜해 놓았었다고 한다. 그만큼 아이들의 흥미를 끌수 있는 도깨비의 모습이었나보다.

동화 속에서 우리나라 도깨비는 무섭다거나 악한 모습으로 많이 등장하지는 않는다. 은혜를 갚을 줄 알거나 귀엽거나 사람에게 속아 넘어가는 도깨비.

도깨비가 이번에는 책을 읽는다니 정말 재미있는 발상이다.

세상에 돈이면 안되는게 없다며 돈궤짝을 모으던 도깨비들에게 책은 엄청나게 신기할 뿐아니라 기쁨을 주는 것이었다. 책방에 가는 기쁨, 책 사는 기쁨, 책 읽는 기쁨을 느낄 줄 아는 도깨비들로 변해버렸다.

게임을 할 때와 책을 읽을 때의 뇌의 움직임은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 게임을 할 때는 단순 손동작으로 뇌의 극히 일부분만 움직이지만 책을 읽을 때에는 뇌의 전부분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그만큼 쉬운 일도 아니며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이 길러진다는 이야기일 것이다.

책 읽는 기쁨을 도깨비를 통해 재미나게 표현해내고 있다. 친근하고 재미있는 도깨비가 도서관에 살고 있으면 아이들은 도서관에 매일 가지 않을까? 도서관이 얼마나 행복한 곳이면 이런 말을 했을까"

'천국은 도서관처럼 생겼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