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한 것들 - 슬프도록 아름다운 독의 진화
정준호.박성웅 외 지음, EBS 미디어 기획 / Mid(엠아이디)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슬프도록 아름다운 독의 진화"라는 부제가 붙은 "독한 것들"은 EBS다큐프라임에서 방송이 되었던 것을 책으로 출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뱀이나 복어, 해파리 그리고 감자독 뿐만 아니라 요즘은 외래종 동식물의 치명적인 독의 공격(?)등이 방송되며 공포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지만, "독"이라는 것에 대해 이렇게 치명적으로 다루는 것은 처음보는 것 같다.
사실 "독한 것들"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지나가는 무언가를 본능적으로 집어 삼킨 개구리의 뒤틀림 위로 흐르던 "진화의 신비, 독"이라는 타이틀을 보여주던 다큐프라임의 예고편에서였다. 방송이 나온지 얼마지 않아 "독한 것들"이라는 조금은 밋밋하면서도 독한(?) 제목을 달고 책으로 출간된 것이다.
제1장 독? - 독해서 슬픈 짐승들, 독해지기 위한 노력, 양이 먹으면 젖이 되고 뱀이 먹으면 독이 된다, 독한 진화
제2장 독한 생존 - 독화살개구리, 상자해파리, 사탕수수두꺼비, 바다뱀, 고모도왕도마뱀
제3장 독한 경쟁 - 폭탄먼지벌레, 푸른고리문어, 청자고둥, 오리너구리, 남가뢰와 홍날개, 코알라와 유칼립투스, 짐피짐피나무
제4장 인간과 독 - 독이 양이다, 항생제는 독이다, 독한 사회, 독사교상, 레저용 독, 사람들도 독에 적응하고 있을까?
각각의 타이틀 마다 다양한 독성을 지닌 동물들, 생물들과 그 다양한 독을 품게된 유래들이 나온다. 우리에게 익숙한 동식물부터 우리와는 인연이 없을 것만 같던 그들이 환경 파괴로.. 또 다른 진화의 한편으로.. 우리의 주변에서도 접할 수 있게 되며 그 방편의 하나로 "독"을 지니게 되었다는 소식이 책을 읽고 난 뒤 접하게 되니 느낌이 이상했다.
항상 강한 것은 누군가를 공격하기 위한 것일 거라는 막연한 선입견이 앞서는데.. "독한 것들"을 통해서도 알게 된 것은 누군가를 "우선" 공격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누군가의 목숨을 노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신경계를 자극한다던가, 어떤 감각을 자극하는 등 많은 부분이 "자기 방어 기재"로 독을 만들고, 독을 변화 시키며, 스스로의 환경에 맞게 변이되어 가고 있었다. 각자의 방법으로 자신을 지키기 위한 방편이라는 것을 말이다. 그리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과 주변 생태계의 관계로 인해 그러한 진화는 끊임없이 맞 물려 함께 굴러가고 있었다.
책을 읽다보니 다양한 정보를 접하게 되었다. 포유류에게 고통을 주는 캡사이신이 유독 한국인에게는 더욱 자극적인 매운 맛을 찾으며 독특한 음식문화를 만들어왔다는 점도.. 그리고 인간에게 있어서의 "독"은 "약"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와 함께 발전해왔다고 한다. 실제로 우리가 매년 주의해 맞는 "독감주사"도 알고 보면 "독감 바이러스"를 주입해 그 면역체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 예방하는 것이 아니던가??
하지만 인간에게 있어서의 "독"은 자신의 실리와 맞물리는 순간 자연 환경에 내재되어 있는 작은 "독"도 인간의 목숨을 좌지우지 할 정도로 독한 것으로 바뀌어 버렸다. "매들린 애인의 비소중독 사망", "웰스의 납중독 폭로", "유연휘발유의 환경 파괴", "코난도일의 원작자 독살 설" 등등.
"독"이라는 주제는 인간사의 다양한 분야에서 영감의 원천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우리가 많이 읽었던 세익스피아의 소설이나 "로미오와 줄리엣", 하물며 "인어공주"에서도 새로운 변화를 위한 "독"을 제조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지금도 "독"은 소설 속에서 이야기의 극적인 전개를 풀어나가는 귀중한 메타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니까..
이야기의 끝에서는 뱀의 독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가며, 레저용 독으로 에탄올과 니코틴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는데, 이야기 중 "담배를 피우면 장내 기생충 감염이 억제된다는 것이 단순히 속설이 아니라 사실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였다"라는 말이 있는데.. 그 이야기는 어린 시절에도 어른들이 종종 들려주던 이야기 였다. 기생충 박멸에 대한 사실여부는 모르겠지만 담배는 지혈제로도 쓰이고 있었다는 것을 기억한다. 어린 시절 실수로 넘어지며 턱 밑이 5CM정도 찢어지는 상처를 입은 적이 있었는데.. 그 때 상처의 아픔보다는 어마어마하게 쏟아지던 피에 놀라서 엉엉~ 울었던 기억이 있는데, 그 때 병원차가 오기 전에 숨겨져 있던 아버지 담배를 꺼내 바스러트린 뒤 붕대에 감아 상처에 덧대서 지혈을 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지금도 "독"에 대한 지식이 많은 것은 아닌데도 산행 중 만나는 다양한 총천연색의 벌레나 곤충, 식물을 보면 "독충"이거나 "독이 있는 식물"이라고 생각하고 미리 피해버리곤 했었는데, "독한 것들"을 읽고 보니, 이들이 그저 남은 해하기 위해서, 어떤 헤꼬지를 하기 위해서 화려함으로 유혹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자신을 화려하게, 독하게 만들 수 밖에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독"은 독한 생물을 잡아먹는 포식자들과 독을 지닌 생물과 끝임없는 변화를 통해 다양한 진화의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무조건 "독"을 지니고 있다고 해서 나쁘다는 선입견으로 그 잣대 안에서만 그들을 생각하기 보다 책의 마지막처럼 그 "독"을 통해 누군가는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될 수 있을지는 우리가 얼마나 생물을 올바르고 온전하게 이해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 같다.
그래도 코알라와 유카리툽스 이파리의 관게는 정말 전혀 의외의 결과였다. ^^
단, 책을 읽으며 주의할 것은 너무도 리얼한 사진 때문에 책장을 넘기다가 깜짝 놀랄 수도 있으니 주의해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