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에는 밤이 깃들지 않는다 - 자현 스님 산중일기
일우 자현 지음 / 불광출판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현스님의 글은 언제나 '아하~' 하는 감탄과 함께 읽게 되기 때문에 딱히 어떤 거부감이 없는 편이다. 때문에 이 책을 선택할 때도 특별한 거부감 없이 편하게 집어들었었다. 그냥 책 두께도 적정하니 좋았고, 오랫만에 만나는 하드커버의 양장본이라는 점도 마음에 들었기 때문이다.



책읽기가 빠른 편이 아닌 나에게는 이 책이.. 나를 위해 맞춰진 듯한 책두께와 왜 하드커버를 좋아하는 지 모르겠는데, 내가 좋아하는 하드커버까지 모든게 마음에 들어서.. 그래서 책읽기를 편하게 시작했다. 물론 책의 두께만큼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거라는 보상심리(?)까지 대동해서 말이다. ^^;;

책장을 넘기며, 목차를 지나는 즈음.. 책은 내 스스로에게 다가가는 방법을 사계절의 이름을 따서 4가지 챕터로 나뉘고 있으며, 각 챕터마다 작은 부제를 가지고 있네요. 각 챕터마다, 각 글마다 그에 맞는 멋진 사진이 함께 하고 있어 가독성을 높여주는 좋은 장치가 되고 있네요.



봄 - 다시 깨어나는 존재를


봄은 언제나 생동의 계절이라 하지 않는가? 내 자신을 성찰하고 스스로에게 다가가는 첫 발걸음을 떼는 그 시작점을 사계절의 봄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나를 성찰하기 위해서는 나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자현스님의 산중일기 봄에는 다양한 시행착오에 대한 글들이 적혀 있다. 내가 생각하고 있는 것, 나를 성찰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가는 것이 나에게 다가가는 첫걸음이라는 것처럼 내 스스로가 주변에 흔들리지 않고 올곳이 설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하찮은 자의 자유

그대여!

무언가 남과 다른

특별한 사람이 되려 하지 말고

하찮은 사람의 자유를 관조하라.

하찮음은 낮고 천하지만

그만큼 구속되지 않는 여유가 있다.

이는 하찮음만이 누릴 수 있는

진정한 삶의 춤, 낭만이다.

하찮음에 소요하며

하찮음을 관통해 나간다면

붓다도 부럽지 않다.

아니, 그것은

깨침보다 소중한 하찮음이며

붓다를 넘어서는 하찮음이다.

그대여!

하찮음을 부끄러워하지 말고,

언제나 하찮음을 즐겨라.

붓다와도 바꾸지 않을

진실함이 바로 그 속에 있으므로..




여름 - 버티기만 하는 삶을 일깨우는


두번째 챕터 여름에서는 끊임없이 도전하는 삶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 같다. 송광사 육감정 돌다리를 건너는 스님처럼 삶을 살면서 누구에게나 크고 작은 문제는 다가오게 되어 있다. 단지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따라 다음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많이 들어왔었다. 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그냥 피하거나 밖으로만 타파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자신과의 싸움을 극복하며 견뎌내야한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자현스님이 세월을 보내며 느꼈던 점들을 산중일기를 통해 우리에게 전하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나에 대한, 나를 통한 투쟁이 극복되었을 때 좀더 단단해진 나의 미래와 만날 수 있다고 말해주고 있다.


나의, 나에 대한 투쟁

만약 피끓는 청춘의 붉은 영혼을 가졌다면

지금 당장 나를 향한 투쟁에 나서라.

아직 손에 쥐어지지 않은 영원한 자유를 위해

주먹을 불끈 쥐고 일어나

당차게 세상을 마주하라.

평안의 미소는

투쟁하는 정신에만 깃드는 것

나태를 허용하는 관용을 버리고

주저 없이 부서짐을 선택하라.

지금 당장..



가을 - 바랑에 짊어진 어느 수행자의 독백


세번째 챕터 가을에서는 가을 단풍을 가득 머금은 사진들이 자현스님의 산중일기 글과 함께 동행하고 있다. 어디론가 떠나기 딱 좋은 계절이며 무언가 결실을 얻기 시작하는 계절이다. 높은 위치에서 내려다본 오대산 적멸보궁 사진도 그러한 우리의 마음을 대변하는 거 같다. 우리 삶에서도 조금씩 결실을 얻기 시작하는 시기를 가을에 빗대곤 하는데, 자현스님의 산중일기에서는 한곳에 정주하는 것이 아닌 끊임없는 정진을 권장하고 있다. 내것으로 만들기 위해, 내 손에 넣기 위해 아득바득 하는 그런 삶이 아니라 내게 갇힌 것도 놓아 줄 수 있는.. 그런 여력을 가질 수 있는 그런 삶을 나아가라고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깨달음이라는 허상에 갇힐 필요도 없고 언제나 새로움을 향해 나아가되 나라는 존재를 제대로 세울 수 있음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해주고 있다.


오늘을 달릴 뿐

그날에는 언제나

그날의 일이 있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당겨서 하고 편안하거나

밀어서 한갓 지기를 원하지 마라.

삶이란,

잠과 같은 것이니

미리 몰아 잘수도 없고

늦춰서 한꺼번에 잘 수도 없다.

지구가 자전하면서

생명을 일궈내는 것처럼,

오늘을 달리고 매일을 살면 된다.

그렇게 꾸준히 현재를 즐기며,

죽음에 이르도록 묵묵히 나아갈 뿐이다.



겨울 - 눈길 따라 문득 산사를 찾은 손님


마지막 챕터 겨울. 모든 결실의 계절인 겨울은 결과의 안식을 구하지 말고 갇힌 속에서도 계속해서 나아가는 것을 이야기 한다. 겨울의 서문을 보면 "막힌 길의 끝에 해탈의 자유는 존재하는가?"를 말하고 있다.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꾸준히 내 자신을 만들기 위해 꾸준히 나아가는 것을 말하고 있다. 아래 글 순례자에서도 우리는 모두 영원에 이르는 순례자라고 말하고 있다.


순례자

우리는 모두 순례자이다.

목적이 있든 없든

인생이란 길 위를 걸어가는

우리는 모두 순례자다.

우리의 순례는 멈추지 않는다.

죽음에 닿도록 쉬지 않는다.

기쁨도, 슬픔도, 지친 순례의 일부가 되는

우리는 영원에 이르는 순례자이다.



오랫만에 만나는 하드커버의 양장본이라 마음에 들었고 사진과 어우러진 산문이 슬슬 읽혀서 좋았던 "태양에는 밤이 깃들지 않는다". 자현스님이 산중에 머물며 써내려간 글들이 단순한 산문인가 했는데, 읽다보면 단순한 일상에 대한 산문이 아니라.. 어쩜 존재의 소중함을, 내 존재를 스스로 세울 수 있어야 함을 표현하고 있는 게 아니었나 싶다. 읽으면서도 좀더 심오한 내용이 있구나 싶어 몇번이고 다시 되뇌이며 읽어보게 되었던 이 책. 조금 심오함을 담고 있어도 읽는데는 무리없어서 좋다. 그냥 어려운 주제를 조금 쉽게 읽어 볼 수 있어 좋다.



간만에 마음에 드는 글귀들이 많아 몇번의 필사를 하면서 뿌듯해 했던 기억이 있다. 책도 두껍지 않아 몇번의 내용을 되찾아보고 필사를 했던 거 같다. 마지막 장을 덮으며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더 들던 "태양에는 밤이 깃들지 않는다". 마음챙김을 위해.. 내 자신을 스스로 세우기 위해 누구나 부담없이 읽어봐도 좋을 거 같다.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성지 2024-02-18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트러진 마음을 다잡고 세로운 원으 세우고 살아갈 힘을 주는 선지식이 있어 고마운 인연입니다.

jinalov 2024-02-24 14: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언제나 긍정으로 모두를 만날 수 있으면 좋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