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동무 푸른숲 어린이 문학 5
배유안 지음, 이철민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 창경궁 동무

 



지은이:

저자 배유안은 밀양에서 태어나 부산에서 자랐다. 2006년에 《초정리 편지》로 창비좋은어린이책 대상을 받으며 첫 책을 낸 이후, 동화와 청소년 소설 창작의 즐거움에 빠져 있다. 《스프링벅》《콩 하나면 되겠니?》《분황사 우물에는 용이 산다》《아홉 형제 용이 나가신다》《할머니, 왜 하필 열두 동물이에요?》《서라벌의 꿈》《뺑덕》《쿠쉬나메》 등을 썼다.


그린이 이철민은 대학에서 시각 디자인을 전공했다. 잡지와 광고에 그림을 그리다가, 좀 더 이야기가 있는 그림을 상상하며 어린이 책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박문수전》《이순신과 명량대첩》《건냐오의 백합계곡》《내 이름》 등에 그림을 그렸다.

출처: 교보문고

http://book.naver.com/product/go.nhn?bid=8751780&cpName=kyobo&url=http%3A%2F%2Fwww.kyobobook.co.kr%2Fcooper%2Fredirect_over.jsp%3FLINK%3DNVB%26next_url%3Dhttp%3A%2F%2Fwww.kyobobook.co.kr%2Fproduct%2FdetailViewKor.laf%3FmallGb%3DKOR%26ejkGb%3DKOR%26linkClass%3D%26barcode%3D9791156750451




내용:

이 책의 화자는 정후겸이라는  몰락한 양반 가문의  어부의 아들로  생활하며 늘  배움에 목말라 하는 영리하지만 빈곤한 처지였습니다.그러던중 정후겸의 아버지가  먼 친척인 부마와 화완 옹주 집에 정후겸의 일신을 맡기게 되며 정후겸의 인생은 전환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화완 옹주는 병으로 불의에 남편과 자식을 잃게 됩니다. 이때 바로 옆에서 정이들어버린  옹주는 정후겸을 양자로 삼고 대궐로 함께 들어가게 됩니다.  정후겸은  학업과 무예에  소질을 보이고 열심히 임함에  화완옹주의 아버지인 영조의 칭찬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정후겸은 잘못된 판단을 하게 되는데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훗날 정조가 되는 이산을 좋아하면서도 질투심을 느끼게 된것입니다.  사도세자가 정쟁의 회오리속에 뒤주에서 죽어가는 참혹한 사건과 함께 정후겸은 잘못된 야망을 갖게되지만 끝내 이산은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그리고 정조는 즉위식에서 “나는 사도 세자의 아들입니다.”라고 말합니다.

p11

1776년 음력 3월10일, 경희궁 숭정전에서 조선 제22대 임금의 즉위식이 열렸다. 즉위식은 엄숙하고 위엄이 넘쳤다.그러나 대신들 사이에 끼어 있는 나, 정후겸은 말로 다 할 수없는 참담함에 몸이 졸아 들고 있었다.

'결국 이렇게 되는구나'

-책의 처음 부분은 정조의 즉위식 장면에서 정후겸이 참담한 심정으로 참석하는 장면부터 시작됩니다. 글의 화자는 정후겸입니다. 이야기 내내 사건은 정후겸의 시각으로 전개됩니다.
   


p25

임금이 화완 옹주와 함께 머무는 동안 대궐에서 급한 기별이 왔다. 병중이던 중전이 돌아가셨다는 전갈이었다. 다급하고 경황없는 일이 겹친 것이다. 나는 중전이 위중한 중에도 임금이 후궁의 딸인 옹주를 위로하허 이솟에 납신 사실에 더 놀랐다. 그만큼 옹주는 임금이 지극히 사랑하는 딸이었다.

-뭐든지 지나치면 아니한만 못하다는 말이 있듯이 영조가 기인인 것은 이 사건만 봐도 알수 있겠습니다. .뜬금없이 귀도 레니의 그림 [슬픈 베아트리체 첸지]가 생각이 나네요.



p68

"사람의 본성에 어찌 어질고 의로운 마음이 없었겠습니까? 그런데 본래의 양심을 버리는 것은 도끼로 나무를 자르는 것과 같습니다. 날마다 양심을 자른다면 어찌 아름답겠습니까? 사람의 양심도 밤낮으로 자라고 또 커지고자 합니다. 그런데 사람답지 못하게 생각하고 행동하면 양심의 싹이 자라지 못하여 인간이 아니라 짐승과 같은 상태에 빠집니다. 사람들은 결과적으로 나타난 모습만 보고 본래부터 착한 심정이 없었다고 생각하지만, 어찌 그것이 사람의 본성이겠습니까?"

-맹자는 성선설 이었죠.




 p 85
‘세자 저하가 임금이 못 될 수도 있다. 그렇게 절대적인 일도 바뀔지 모른다…….’나는 이렇게 되뇌며 두려운 희망을 품었다. 옹주 집에 처음 들어가서 느꼈던, 뭔가 크게 달라질 듯한 희망을 또 느꼈다. 운명이 바뀔 수도 있다는 희망 말이다. 내가 지금 대궐에 사는 것도 얼마나 놀라운 일인가? 지금 대궐의 내로라하는 권세가들이 뭔가를 의논하러 모여든 곳은 바로 옹주 집이다. 이것은 무슨 뜻인가? 장차 옹주의 위상이 더 높아지면 내 지위 또한 얼마나 더 높아질지 모를 일이었다.
 

​-아! 불행의 씨앗입니다.



P97

대궐은 부귀영화를 누리는 곳이 아니라 권세를 다투는 곳이었다.대신이나 관리들은 각자 자기편이 있었다. 대신들은 노론 소론 남인등으로 각각 편이 갈라져 있었다. 남인 세력은 아주 약헸고 노론의 세력이 가장 강했다.

-21세기에도 서로 친일파다, 종북이다 하고 치고 받으니.....



P124

세자는 상투가 풀어져 머리카락을 흩뜨린 채로 세손을 붙잡고 울었다.

"산아, 가거라. 너는 살아야 한다."

"아바마마!"

세손은 피가 흘러내린 제 아버지의 얼굴을 만지며 목이 메어 울었다. 나는 차마 바로 볼 수없어 눈을 감았다. 가슴이 벌떡 벌떡 뛰었다.

-정말 참혹한 광경입니다. 글로만 봐도 마음이 끔찍한데 실제 현장에 있었을 이산은 얼마나 큰 충격을 받았을지 짐작도 가지 않습니다.



p157~158
그때, 사도 세자가 그렇게 죽지 않았다면 나는 지금 세손과 동무로 남았을까? 그랬을 것이다. 질투심에 시달리면서도 나는 늘 세손을 좋아했다. 세손도 나와 함께 어울리기를 좋아했다. 그렇게 동무로 남았더라면 이제부터 왕과 함께 이런저런 의논을 하는 벗이 될 수 있었을까?
처음 부마 집에 머물게 되고 이어서 옹주의 양자가 되었을 때, 나는 하늘이 내 편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게 정말 행운이었을까? 어쩌면 나는 세손을 시기하는 데 눈이 멀어 하늘이 준 복을 스스로 불행으로 바꾼 게 아닐까? 온몸에서 힘이 쭉 빠져나갔다. 뜨거운 것이 차오르며 가슴 한 부분이 날카로운 칼에 찔린 듯 아팠다. 결코 쓰지 않을 것 같았던 ‘후회’라는 단어가 나를 덮쳐 왔다.

-마지막 부분은 다시 정조의 즉위식에 참석한 정후겸의 심정입니다. 권세는 찰라와 같다는 옛말을 사람들은 자주 잊지요. 모든 사람은 인간인 이상 죽음을 피할 수 없는데도 천년을 살듯 만년을 살듯 주위를 쥐어짜서 축재를 하듯이 말입니다.

인간이 한번 와서 장수를 누려 일백년을 산다 해도 먹고 자는 시간을 빼면 50년이나 살지 모르겠는데 그 시간마저도 너무 허망이 보내는 것 같습니다.



감상:

부정한 방법으로 권력을 탐한자는 결국 화를 면치 못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웬지 영화 홍보 대사 한마디 같지만 역사적으로 실제 있었던 일이지요.

지금 우리 사는 세상은 어떤지 곰곰히 생각해보게 만드는군요.


-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