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르와 아스마르 - Azur & Asmar, 초등용 그림책
미셸 오슬로 지음, 김주열 옮김 / 웅진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파란색 바탕 표지 위에 빛나는 검은색 말을 탄 남자와 빛나는 흰색  을 탄 남자가 보입니다 그 위로 은색의 고풍스러운 제목 <아주르와 아스마르>가 보입니다 표지만으로도 충분히 환상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가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표지를 자세히 볼 겨를도 없이 두꺼운 표지를 단번에 넘기게 만들어버립니다 그리고는 글을 읽어 볼 겨를도 없이 그림 삼매경에 빠져들게 합니다 어쩌면 그림이 이처럼 아름다울수가 있단 말입니까? 그 아름다움에, 환상적인 그림에 할 말을 잊어버리게 합니다





갈색 피부의 한 여인을 금발 머리에 파란 눈의 아이와 갈색 피부의 검은색 눈을 가진 아이에게 그 여인은 유머이며 엄마이기도 합니다 그녀는 두 아이에게 밤마다 요정 진의 이야기를 해 줍니다 왕자님이 마법의 열쇠 세 개를 찾아내서 요정 진을 구하고 결혼을 하게 되는 환상적인 모험의 이야기입니다




아주르 아버지는 아들이 더 이상 유모와 함께 있는 것이 교육적으로 좋지 않다는 판단을 하고 아주르를 발레와 펜싱, 승마, 라틴어를 배우도록 했습니다 그리고는 결국 아주르를 도시의 가정교사 집으로 공부를 위해서 보내고 유모야 아스마르를 집에서 내쫓아버린답니다 아주르는 오랫동안 공부를 했지만 어릴 적에 유모가 들려 준 요정 진의 이야기를 잊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노인이 된 아버지에게 요정 진을 구하러 바다로 가겠다고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 합니다




바다의 파도에 휩싸여 낯선 나라에 도착한 아주르는 그들의 말에 안도감을 느꼈습니다 그 말은 옛날 유모가 사용하던 언어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나라의 사람들은 아주르의 파란 눈이 저주의 눈, 악마의 눈을 가졌다고 모두 두려움에 아주르를 피하기만 했습니다 아주르는 할 수 없이 눈을 감고 장님의 흉내를 낼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느 도시에서 아주르는 불의 열쇠와 꽃의 열쇠를 손에 넣을 수 있었어요 그리고 그곳에서 최고의 상인인 제난 이라는 유모를 다시 만나게 되지요 그리고 아주르와 아스마르 모두에게 요정 진을 구하러 가는 원정대 비용을 대 주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학자 야도아는 세밀화그 그려져 있는 커다란 책을 보며 요정 진에 대해서 설명을 해 주었습니다 붉은 사자와 시무르그 새가 사는 곳으로 가서 요정 진이 있는 곳으로 안내를 받아서 마지막 관문인 쌍둥이 문이 있는 곳을 통과하면 요정 진을 만날 수 있다고 이야기 해 주었습니다




붉은 사자는 아주르를 검은 절벽으로 데려다 주었어요 또, 무지개 빛 화려하고 거대한 새, 시무르그는 아스마르를 절벽으로 데려다 주었습니다 그때 아주르마 아스마르를 기다리고 있던 악당에게 아스마르가 잡히고 말았답니다 아주루는 무사히 마지막 열쇠를 구할 수 있어습니다 칼에 맞은 아스마르를 아주르가 어깨에 메고 다리를 통과하고 처음 만나는 불의 문에서 불의 열쇠를, 두 번 째 관문인 가스의 문에서는 향기의 열쇠를 사용 했습니다 그리고 드디어 마지막 관문인 쌍둥이 문 앞에 서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찾던 아름다운 요정의 진을 만나게 되었고 아스마르의 목숨도 구할 수 있었지요




요정 진은 한명인데 진을 구한 사람은 두 사람이였습니다 요정 진은 금발을 한사촌 언니 요정 엘프에게 도움을 요청 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춤을 추기 시작 했습니다 처음엔 금발의 요정 엘프와 아주르와 갈색의 요전 진과 아스마르가 어울리는 것 같았지만 결국은 엘프와 아스마르, 진과 아주르가 더 잘 어울렸습니다




환상적이고 모험적인 이야기는 끝이 났지만 그 감동은 많은 여운으로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그리고 아주 중요한 교훈을 우리에게 남겨줍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서 인종과 문화의 차별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서로 다르지만 조화를 이루면서 서로 이해하고 타협하며 살아야야 한다는 것을 알게 해 줍니다 지금은 세계화 시대입니다 그 세계화에 발 맞추어가려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고 다르다는 것이 결코 틀리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우리 모두 알아야 합니다 세계를 짊어지고 나아갈 우리의 아이들이 자신과 다른 친구들을 만나도 먼저 악수를 청할 수 있고 생소하고 특별한 다른 문화에 거부감을 보이기 전에 긍정적으로 이해하려는 마음을 가질 수 있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