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거인 (15만 부 기념 스페셜 에디션)
프랑수아 플라스 글 그림, 윤정임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협찬
#마지막거인
#프랑수아플라스
#디자인하우스
#그림책
#한국어판15만부판매기념
#스페셜에디션
#책추천



침묵을 지키지 못한 어리석은 인간의 고백을 담은 슬픈 이야기, 《마지막 거인》

표지에서 몸 전체에 나선 형 무늬가 그려진 거인이 보인다. 그 뒤로 중절모를 쓴 남자가 있다. 두 존재는 같은 방향을 보고 있지만 왠지 같은 마음은 아닌듯하다. 궁금하게 만든 것은 거인의 등에 남자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거인의 마음에는 인간이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허리에 손을 얹고 올려다 보는 인간은 거만해 보인다. 인간의 마음에도 거인이 있을까?

아치볼드 레오폴드 루스모어는 산책하다가 이상한 그림이 조각되어 있는 거인의 아주 커다란 이(사람의 주먹만 한)를 사게 된다. 세밀하게 그려진 그림을 몇 달간 관찰하고 연구한 결과 '검은 강'의 원천에 있는 '거인족의 나라'의 지도라는 것을 알게 된다.

거인족의 나라를 찾아 떠났던 탐험은 험난했다. 같이 갔던 사람들은 와족에게 죽음을 당했다. 혼자 남은 그는 북쪽을 향해 걷다가 우연히 거인이 사는 나라를 찾게 된다.

남자 다섯, 여자 넷, 모두 아홉 명의 거인과 함께 지내며 그들의 삶과 이야기를 기록한다. 10개월 후 집으로 돌아와 총 아홉 권의 책으로 출간한다. 사람들은 미지의 세계에, 인간과 다른 거인에게 흥미를 보였고 궁금해했다. 많은 사람이 원정대를 꾸려 거인의 나라로 찾아간다.

그리고 그곳에는 예기지 못한, 상상도 하지 못한 일이 기다리고 있었다. 아름답고 고귀한 거인 안탈라의 머리와 거인 친구들의 죽음이었다.

● 별을 꿈꾸던 아홉 명의 아름다운 거인과 명예욕에 눈이 멀어 버린 못난 남자, 이것이 우리 이야기의 전부입니다.(74쪽)

별을 꿈꾸던 거인은 무엇일까? 그건 자연을 의미한다. 인간은 자연의 아름다움에 감탄하고 경의로움을 표현하지만 가지고 싶은 욕심에 아무렇지 않게 침범하고 무참히 훼손한다. 인간은 어리석기만 하다. 눈앞의 이익을 쫓느라 못 본 척, 중요하지 않다 판단하고 돌이킬 수 없는 무모한 행동을 한다. 파괴하면 결국 부메랑처럼 돌아온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 채.

《마지막 거인》은 자연과 인간, 그리고 상상력과 현실 사이의 조화를 탐구하는 흥미로운 이야기로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에게도 독특한 탐험을 선사한다.

동화는 자연과의 조화, 존엄성, 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동시에 인간의 욕망과 탐욕에 대한 경고도 하고 있다. 자연과 어떻게 조화롭게 살아갈지에 대한 방법을 고민하게 한다.

● 깊이를 모를 슬픔의 심연, 그 밑바닥에서 감미로운 목소리가, 아! 너무도 익숙한 그 목소리가 애절하게 말했습니다.
"침묵을 지킬 수는 없었니?"(72쪽)

인류 발전을 위한 환경 파괴의 당위성에 대한 무거운 질문을 던져 주는 책이었다. 많은 사람이 읽고 함께 고민해 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