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타리를 넘어서 베틀북 창작동화 7
황선미 지음, 한병호 그림 / 베틀북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황선미작가의 작품을 만나게 된 것은 큰아이가 초등학교를 입학하고 처음 맞이하는 여름방학에 추천도서로 선생님께서 지정해 주신 도서들 중에 <나쁜 어린이표> 포함 되어 있었습니다 제목이 왠지 끌려서 아이랑 서점에 가서 구입을 하고 읽게 된 책이였습니다 글이 간결하면서도 쏙쏙 머리에 눈에 잘 들어오고 내용 또한 너무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무엇보다 그녀의 작품에 제가 매료 된 것은 책을 읽는 내내 아이들의 입장에서 아이들의 마음을 너무나도 정확하게 잘 표현 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뒤로 <처음 가진 열쇠>, <들키고 싶은 비밀>, <목걸이 열쇠>, <일기 감추는 날>등 그리고 아이에게 초등학생들이 하는 생일파티에 대해 아이의 생각을 바꾸게 해 준 <초대받은 아이들>책을 읽으면서 아이와 저는 황선미작가의 책을 더욱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과수원을 점령하라>책을 읽고 있습니다 아이와 제가 좋아하는 동화작가 황선미작가의 새로운 책을 찜해 두었던 책을 이렇게 읽게 되어서 너무 좋았고 정말 기뻤습니다 <울타리를 넘어서> 책은 4편의 단편동화를 묶어 놓은 책입니다 4개의 이야기가 각기 다른 느낌의 동화였지만 4편 모두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코딱지만 한 괴물’

단짝이였던 두 친구 푸름이와 영민이, 부모님의 이혼으로 영민이는 점점 거칠어지고 친구들과의 벽만 만들어 갑니다 꼭 그렇게 해야지 한 건 아니지만 두 친구사이에서는 서로 아는 척도 하지 않는 지경까지 오게 됩니다  영민이가 시골 할머니 댁으로 이사를 가기 전날 푸름이네 집에 영민이가 키우던 물고기가 오게 됩니다 그 물고기를 보면서 푸름이는 마음이 많이 아픕니다 영민이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 해 주지 못한 것이 못내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4학년 큰아이는 푸름이가 너무 용기가 없었다고 합니다 영민이에게 먼저 손을 내 밀어 주고 위로 해 줄 수 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이 너무 안타까웠다면서 못내 아쉬워 합니다 아이가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을 보니 마음이 놓입니다 주위에 분명 영민이 같은 친구가 있다면 아이가 먼저 손 내밀어 줄 수 있는 마음을 가진 것 같아서 마음이 뿌듯하기만 합니다 친구사이에는 자존심이 필요치 않다는 것을 보여 주는 좋은 이야기입니다 좋은 친구를 원한다면 스스로 먼저 좋은 친구가 되어 주어야 한다는 것을 아이들이 이 책을 읽고 알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울타리를 넘어서’

기린아파트와 상아아파트 사이에는 경계를 짓고 나누는 시멘트 울타리가 놓여 있습니다 그 울타리 사이에 아이들이 좋아하는 김네티라는 삽삽개가 상아아파트 일층에 살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울타리를 넘나들면서 근처에 잔디밭은 아이들이 네티를 보러오면서 엉망이 되고 맙니다 두 아파트 소장들은 이런 일로 머리가 아프게 된 것을 무척 싫어합니다 그래서 여러번 아이들에게 경고를 하고 네티 주인인 할머니에게도 당부의 말을 해 보았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결국 두 아파트 사이의 더 큰 담을 쌓아야겠다는 결론을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담을 더 높게 쌓는 일보다 더 우선인 일이 생겼습니다 아파트에 자전거가 도둑을 맞는 일이 심해지면서 하루빨리 자전거 도둑을 잡아야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어느날 상아아파트 이소장이 순찰을 돌고 있는데 네티가 한밤중에 심하게 짖는 소리에 도둑이 들었다는 생각에 달려 가보려고 하지만 쉽게 발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네티는 쏜살같이 달려가서 자저건 도둑을 잡았습니다 그 일로 기린, 상아아파트 사이에는 더 높은 담이 놓여 진 것이 아니라 쪽문을 내어서 아이들이 쉽게 네티를 볼 수 있도록 했고 잔디 대신에 보도블록을 깔았습니다 이 처럼 생각 한번 바꾸고 나면 아무일도 아닌 것이 되 버리는 것을 사람들은 그 생각을 바꾸기가 정말 쉽지가 않습니다 왜냐하면 눈앞에 불만이나 불편만 보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이 이야기를 읽고 아이들이 생각을 전환 할 수 있는 생각의 힘을 배울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나’보다는 ‘우리’라는 개념을 먼저 알고 배울 수 있도록 우리 부모들이 솔선수범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앵초의 노란 집’

앵초는 돌아가신 할머니가 새가 되어 나무로 찾아온다고 믿고 있는 아이입니다 그래서 나무에 앞에다 돌답을 쌓으면서 소원을 비는 앵초를 아이들은 꼬마무당이라고 부르고 놀리고 소외시킵니다 이사와서 짝이 된 민우도 그런 앵초가 싫었습니다 허락도 없이 자기 물건을 가져가는 앵초는 도둑질에 거짓말까지 잘하는 나쁜 아이로만 보게 됩니다 하지만 앵초가 돌아가신 할머니를 그리워 하면 할머니가 새가 되어서 다시 찾아왔을 때 편안하게 쉴 수 있는 집이 필요했던 것을 안 민우는 앵초에게 노란색 새집을 선물로 줍니다 그리고 서로의 마음을 열고 친구가 됩니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동화입니다 이 세상에는 분명 앵초같은 친구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상처받은 앵초도 우리가 그들의 말에 귀 기울여 주고 따뜻한 관심과 마음으로 다가간다면 분명 마음을 열고 우리에게 한걸음 다가오리라 저는 생각 합니다 친구가 자기와 모습과 생각이 다르고 해서 무조건 나쁜 시선으로 바라봐서는 절대 안 됩니다  다르다는 것이 나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아이들이 이 동화를 통해서 꼭 알 수 있길 바라고 겉모습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어리석은 행동은 하지 않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괭이 할아버지’

손수레에 빈 병이나 신문지, 종이, 싱자를 주어서 파는 일을 하는 괭이할아버지 종오와 소연, 기철이는 그런 할아버지 댁에 열린 딸기와 살구나무에 무척 관심이 많습니다 3명은 할아버지가 없는 사이에 몰래 집으로 들어가서 살구를 훔쳐 먹으려고 계획을 합니다 종오와 기철이는 살구와 딸기 따먹기에 정신이 없는데 소연이는 방문이 열린 방을 보고 호기심에 그 방안을 들여다 봅니다 그곳에는 책들이 가득 쌓여 있었습니다 책을 좋아하는 소연이는 주인 허락도 없이 그 방에 들어가서 동화책을 한 권 들고 읽기 시작합니다 두 번째 괭이 할아버지 집에 방문해서 동화책을 마저 일고 있는데 할아버지께 들키고 말았습니다 그 벌로 세 사람은 감자밭의 풀을 뽑아야했습니다 풀을 다 뽑고 나면 소연이가 원하는 책을 마음껏 읽을 수 있습니다 할아버지는 감사밭의 감자들을 온 동네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할아버지의 집은 아이들에게 선물을 남겨 줍니다 아마도 할아버지께서 모으신 책들을 읽고 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깊은 뜻기 담겨 있는 것 같습니다 조금은 엉뚱하고 마음을 알 수 없는 무섭기만 할아버지였지만 얼굴을 마주보고 이야기를 해 봄으로서 친구가 될 수 있었습니다 사람을 겪어 보지도 않고 겉모습으로 판단하여 선입견을 갖는 다는 것이 얼마나 큰 잘못인지를 알게 해 주는 동화였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겉모습이 아닌 사람의 마음을 볼 수 있는 예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밝고 긍정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4편의 동화의 공통점은 작가의 생각처럼 ‘마음을 열면 친구가 된다’입니다 마음을 열지 않고는 다른 사람의 진실 된 모습을 볼 수 없습니다 진실 된 모습을 보지 못하면 서로의 선입견에 오해를 만들고 그 오래가 점점 서로에게 다가 갈 수 없는 벽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그 누구와도 친구가 되려면 마음을 열어야 합니다 생각이 많고 화려한 것을 더 좋아하는 두 눈이 아닌 그 모습 그대도 왜곡하지 않고 볼 수 있는 따뜻한 마음으로 모든 사물을 바라 볼 수 있도록 열린 마음을 키워야 합니다 4편의 가슴 따뜻한 동화를 읽고 아이들이 작은 것에도 마음을 쉽게 열 수 있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사랑스러운 아이들로 자랄 수 있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