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4
제임스 미치너 지음, 윤희기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제임스 미치너와 그의 책 『소설』에 바치는 오마주 

 

 

일종의 경고이자 증언으로 시작하자면, 이 책은 절대로 대중소설이 아니다. 아마 편집자와 출판사가 고민깨나 하지 않았을까 싶을 만큼 실험적이고 파격적이다. 작가는 자신의 다른 책,『작가는 왜 쓰는가』에서 “소설의 처음 몇 장을 아주 어렵게 만들라. 그렇게 해 일부 독자들을 떨어져 나가게 하라(내가 쓴 소설을 읽으면서 시간을 낭비하지 말아야 할 사람들이 분명 있기 때문이다).” 라고 말하며 실제로 자신의 신념을 실행했다. 그리고 원하던 결과를 얻었을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될 만큼 많은 이들이 이 책의 ‘작가’ 부분을 읽다가 하차했을 것 같다. 그러니까 솔직히 말하자면 『소설』은 꽤나 길고, 다분히 지루하거나 어렵게 느낄 수 있는 책이다. 게다가 ‘소설’이라는 장르를 집요하게 파고들어 정통적인 담론을 말하는 지극히 교과서적인, 엘리트적인 글이다. 대신 그만큼 이 책을 호의적으로 바라볼 독자층을 비교적 명확하게 예상할 수 있다. 아마 이 책을 공감하거나 감탄하며 즐겁게 읽는 사람들은 문학에 적(籍)을 둔(과거에 그랬거나 여전히 미련을 갖는) 사람이거나 그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일게다. 문학, 소설, 글 때문에 인생을 어렵거나 무겁다고 느낀 적이 있는 사람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에 목숨을 바치고 싶다고 한 번이라고 생각한 적 있는 사람들만이 이 책을 끝까지 읽을 것이다. 그들에게 이 책은 아프고 동경하는 어떤 부분을 자극하도록 느낄 것이다. 그러니 탐욕적이고 유미적인, 호기심 충만한 독서가들에게는 필히 추천하고 싶다.

어떤 때는 글 쓰는 일이 마치 무슨 지고한 영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행위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으면 사람 웃기지 말라고 말해주고 싶은 심정이 들기도 했다. 정말 글쓰기란 고된 노동인 것이다.

이 문단을 읽고 나는 난데없이 킬킬거리고 말았다. 아아, 정말 그러했다. 좀 더 어릴 적에는 작가에 대한 막연한 환상이 있었다. 그들은 모두 약간 괴짜이거나 괴팍할 것 같았고 시큰둥한 표정과 무뚝뚝한 말투를 가지고 있을 것 같았다. 자기 글에 놀랄만한 자부심을 갖고 있고, 편집자나 평론가를 무조건 싫어하고, 실상 독자에게 관심이 없을 것 같은 오만함이나 이상한 행동이나 게으름을 일삼다가 어느 순간 방에 틀어박혀 펜을 휘두르면 완성된 글이 쑤욱 탈고될 것 같은 그런 모습 말이다. 그러니까 나는 글자를 마법처럼 퐁퐁 솟아내게 하는, 마치 판타지아(월트 디즈니의 만화)같은 장면을 상상했던 것이다. 때문에 그들은 모두 내게 경외심을 일으키는 존재였고, 날 때부터 나와는 너무 다르고 먼 사람들 같았다. 모든 작가는 하늘이 내리는 것이라고, 재능외에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없다고 믿으며 고개를 주억거렸다. 

물론 지금은 이것이 그저 환상에 가깝다는 것을 어렴풋이 알고 있다. 작가들은 축복받기보다는 실상 지독한 저주에 걸린 사람들과 비슷하며, 때로는 ‘쓰고 싶어서’가 아니라 ‘써야만 하기에’ 쓰기도 한다는 것을. 뮤즈는 태반의 작가들에게 고결함이나 재능이 아닌 노동과 노력, 좌절을 요구한다. 작가들이 단어 하나하나에 머리를 싸매고 절망는 모습, 어깨와 손의 통증을 호소하는 모습, 마감을 앞두고 신경질적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보면서도 심드렁한 표정을 짓고 때로는 낄낄거리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어쩌면 글쓰기란 “그러나 이제 복수의 시간이 왔고 나는 너를 사랑한다.”는 네루다의 시구처럼, 차라리 애증의 행위에 가까울지도 모른다. 글쓰기란 실상 추하고도 아름다운 것, 영롱하고 무시무시한 것, 다른 어떤 일보다도 체력과 인내를 요구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바로 이런 생각들은 제임스 미치너의 『소설』을 읽으며 더욱이 확고해질 수 밖에 없다. 일종의 메타픽션인 이 책은 한 권의 소설이 ‘완성’되기까지, 그러니까 작가-편집자-평론가-독자에까지 닿는 화학작용에 대해 다루고 있다. 즉 작가의 열정과 고뇌, 편집자의 날카로운 눈과 감각, 평론가의 열등감과 환희, 독자의 카타르시스를 한 권에 담고 있는 셈인데 상당히 흥미롭고 독특한 소재는 물론 방식을 택하고 있다. 네 개의 챕터, 혹은 인물들은 각각 씨실과 날실처럼 엮여있고 자신을 변호하고 설명하는 동시에 서로를 묘사한다. 미치너는 각각의 인물의 고통과 딜레마와 기쁨을 마치 빙의라도 된 듯이 풀어내는 데 그 내용이 참으로 재밌다. 개인적으로는 특히 ‘편집자’와 ‘평론가’ 부분을 빠져들어서 읽었는데 정말로 그들은 이런 고민을 할 것만 같았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모든 원고들이 다 책으로 꾸며지는 것은 아니었다. 사실 중견 편집자의 관심 범위 안에 드는 원고들은 극소수에 불과했다. 보수도 많이 받는 전문 편집자들이 가망 없는 원고들 때문에 귀중한 시간을 뺏길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평균적으로 따지면 대체로 각 출판사마다 <채광창 넘어> 들어온 9백 편의 원고 중 단 한 편만이 책으로 발간되는 것이 일반적인 통계였다. 그러나 여러 출판사에서 퇴짜맞은 원고들이라 해서 베스트셀러가 되지 말라는 법은 물론 없었다. 또 사실 그런 경우가 많았다.

마멜스타인은 훌룡한 편집자로서 세 가지 자질을 가진 여자야. 첫째는, 독자들이 읽고 싶어 하는 멋진 소설을 찾아내는 능력. 둘째는, 시류에 적합한 주제들을 찾아내고 또 그것을 논픽션 책으로 엮어 낼 적절한 작가를 발굴하는 능력.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독자들이 15년이 지나고 읽고 싶어 하는 그런 책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지. 

앞서 말한 ‘작가에 대한 환상’에는 모든 글이 그들 머릿속에서 나온다고 믿었던 것도 포함되어 있다. 오탈자를 제외하고는 모든 글의 완성은 작가에게 달려있다고, 평론은 진정한 창작이지만 창작물이 없다면 평론가라는 직업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타인의 창작을 비판할 권리는 없다고 생각했었다. 때문에 오랫동안 중간 역할을 하는 사람들의 귀중함을 정말 모르고 살았다. 예를 들면 기자, 편집자, 번역자, 전기 작가, 평론가 등과 같은 경우인데 정말 오랫동안 이야기는 순수하게 작가 개인의 것이라고만 믿어왔다. 그리고 그 이야기가 닿아오면 그것은 독자의 것으로 변형된다고. 하지만 실상 그들이 없다면 어떨까. 제대로 번역된 -원서의 느낌을 살린- 글을 읽을 수나 있었을까. 실력 있는 신인작가는 누가 발굴하는가. 써주는 이가 없다면 아무리 유명한 사람이라 한들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전문적인 평론이 없다면 작가들은 무엇을 위해 글을 쓸까. 

이 책에 묘사된 인물들의 이야기를 모두 듣다보면 결국 모두 똑같이 어렵고 힘들고 그러나 보람 있는 일이구나 생각 하고 만다. 소설이란 결국 쓰는 자, 내는 자, 평가하는 자, 읽는 자 중 하나라도 없으면 제대로 작용할 수 없는 지극히 유기적인 행위체가 아니던가. 그들은 소설을 어떤 폭발적인 것, 즉 경이로움과 장엄한 계시적 광경으로 가득 차 있고, 평범한 행위에 대한 시적인 해석과 기묘하게 보이는 것에 대한 산문적 설명으로 꽉 들어차 있는 것으로 보았다. 라는 책 속의 문장은 사실이다. 결국 소설의 의미를 믿는 사람들만이 그것을 탐하게 된다. 작가, 편집자, 평론가, 독자 중 누구라 하더라도. 

제임스 미치너는 -소위 말하는- 천재 작가는 아닌 것이 분명하다. 그는 오랫동안 편집자로 일했고 마흔이 다 되어서 등단했으며 이 책만 해도 향년 84세에 써진 글이다(그 연세에 이렇게 방대하고 집요한 글을 쓰다니, 대단한 할아버지 아닌가!). 물론 퓰리처상도 받고 세계적 베스트셀러도 써냈지만 그는 전반적으로 상당히 늦된 편이다. 허나 단순히 그가 노장이기에 이런 책을 써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다만 한 가지 주제에 대한 하나의 담론만으로 이렇게 방대하고도 원론적인 이야기를 정력적으로 펼쳐갈 수 있는 단단함은 노장들에게 있는 것이라 생각한다. 제임스 미치너는 분명 작가를 존중하고, 글 쓰는 행위를 사랑하며, 창작론을 가르치는 것을 즐기며, 소설이라는 장르를 존경하는 것이 분명하다. 『소설』을 읽다 보면 소설을 사랑하는 자신, 이 책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내 자신에게 불쑥 고마워진다. 그러니 이 글은 이런 나의 마음으로 접어 만든 한 송이의 장미다. 그리고 나는 이 장미를 제임스 미치너와 이 책 『소설』에 바치고 싶다.

 
 

 


 
* <열린책들>까페에서 진행 된 '12월 테마 - 오마주' 리뷰대회에 제출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